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6.7℃
  • 맑음서울 4.3℃
  • 맑음대전 4.4℃
  • 맑음대구 6.8℃
  • 맑음울산 6.1℃
  • 맑음광주 6.7℃
  • 맑음부산 8.2℃
  • 맑음고창 5.1℃
  • 맑음제주 9.9℃
  • 맑음강화 0.4℃
  • 맑음보은 2.4℃
  • 맑음금산 3.1℃
  • 맑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6.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덜 피우고 덜 마시지만, 살찌는 제주인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 흡연. 음주 줄어

덜 피우고 덜 마시는데, 살찌는 제주 사람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지역보건법4(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근거하여 도내 6개 보건소와 함께 지역별 평균 840여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8-10월에 조사하는 지역단위 일제 건강조사로, 2008년부터 시작하였고 2019년에는 도내 5051명을 대상으로 조사 완료했다.


 

만성질환 관련 건강행태(흡연, 음주, 운동 및 신체활동, 식생활 ) 및 만성질환 이환(고혈압, 당뇨병 등), 정신건강, 손상관련 사고 안전의식 등 21개 영역 211개 문항 건강지표에 대해 설문조사와 계측조사 가구방문을 통해 실시했다.

 

제주지역 주요 지표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흡연율은201723.1%, 201821.8%, 201920.6%로 전년대비 1.2%감소로 성인 흡연율은 점차 감소 추세.

 

남자흡연율은 201743.0%, 201841.0%, 201936.8%전년대비 4.2% 감소로 남자 성인흡연율도 점차 줄고 있다.


현재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201718.7%, 201826.0%, 201935.8%로 전년대비 9.8% 증가로, 금연시도율 증가는 금연으로 이어지는 만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월간음주율은201762.6%, 201860.1%, 201958.8%전년대비 1.3% 감소로 월간음주율도 점차 감소 추세로 집계됐다.


고위험음주율의 경우 201714.1%,201815.5%,201914.0% 전년대비 1.5%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걷기실천율은 201735.4%, 201835.4%, 201933.2%전년대비 2.2% 낮아졌다.


하지만 비만유병율은 201835.6%,201938.6%로 전년대비 3.0% 증가를 보이는 실정이다.

 

체중조절시도율은 201754.0%, 201862.4%, 201961.7% 전년대비 0.7% 감소이나 증감을 반복하는 추세.


건강생활실천율은 201725.0%, 201826.0%, 201924.3% 전년대비 1.7% 감소하였다.

 

제주도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최종 결과를 확정하여 보건소 관리지역별 지역사회 건강통계집을 발간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통계자료를 수집·정리하여 2008-2019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통계집을 발간하게 된다.

 

앞으로 제주도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역간 격차 원인을 찾고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정책과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주민홍보를 통한 건강인식 개선에 적극 활용 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 안전감찰 전담기구 정기회의 개최…안전 강화 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가 재난관리책임기관들과 함께 올해 안전감찰 성과를 점검하고, 기후변화와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내년도 안전관리 방향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26일 오후 2시 제1청사 환경마루에서 ‘2025년 안전감찰 전담기구 협의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시,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관별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재난관리체계, 기후위기 대응 기반시설 및 공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 등이 제시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공공건축물 공사장, 사회복지시설, 호우·대설 재난 대응체계 점검 등 2026년 안전감찰 추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각 기관은 감찰·감사·점검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현장적 요소를 공유했다. 또한 실제 안전감찰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선 방안을 협의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