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5.2℃
  • 구름많음강릉 14.6℃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6.3℃
  • 구름조금대구 16.9℃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7.8℃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5.0℃
  • 맑음제주 19.1℃
  • 맑음강화 11.8℃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3.4℃
  • 맑음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덜 피우고 덜 마시지만, 살찌는 제주인

지역사회건강조사결과, 흡연. 음주 줄어

덜 피우고 덜 마시는데, 살찌는 제주 사람들.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지역보건법4(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 근거하여 도내 6개 보건소와 함께 지역별 평균 840여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8-10월에 조사하는 지역단위 일제 건강조사로, 2008년부터 시작하였고 2019년에는 도내 5051명을 대상으로 조사 완료했다.


 

만성질환 관련 건강행태(흡연, 음주, 운동 및 신체활동, 식생활 ) 및 만성질환 이환(고혈압, 당뇨병 등), 정신건강, 손상관련 사고 안전의식 등 21개 영역 211개 문항 건강지표에 대해 설문조사와 계측조사 가구방문을 통해 실시했다.

 

제주지역 주요 지표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흡연율은201723.1%, 201821.8%, 201920.6%로 전년대비 1.2%감소로 성인 흡연율은 점차 감소 추세.

 

남자흡연율은 201743.0%, 201841.0%, 201936.8%전년대비 4.2% 감소로 남자 성인흡연율도 점차 줄고 있다.


현재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은201718.7%, 201826.0%, 201935.8%로 전년대비 9.8% 증가로, 금연시도율 증가는 금연으로 이어지는 만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월간음주율은201762.6%, 201860.1%, 201958.8%전년대비 1.3% 감소로 월간음주율도 점차 감소 추세로 집계됐다.


고위험음주율의 경우 201714.1%,201815.5%,201914.0% 전년대비 1.5%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걷기실천율은 201735.4%, 201835.4%, 201933.2%전년대비 2.2% 낮아졌다.


하지만 비만유병율은 201835.6%,201938.6%로 전년대비 3.0% 증가를 보이는 실정이다.

 

체중조절시도율은 201754.0%, 201862.4%, 201961.7% 전년대비 0.7% 감소이나 증감을 반복하는 추세.


건강생활실천율은 201725.0%, 201826.0%, 201924.3% 전년대비 1.7% 감소하였다.

 

제주도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최종 결과를 확정하여 보건소 관리지역별 지역사회 건강통계집을 발간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통계자료를 수집·정리하여 2008-2019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통계집을 발간하게 된다.

 

앞으로 제주도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역간 격차 원인을 찾고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정책과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주민홍보를 통한 건강인식 개선에 적극 활용 할 계획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