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제임스 후퍼의‘원 마일 클로저’와 함께하는 2018 제주국제사이클링 페스티벌

ECO, Healing, Travel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2018 제주국제사이클링페스티벌이 오는 98일 개최된다.

 

올해 3회째로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사장 박홍배)가 주최하는 2018 제주국제사이클링 페스티벌은 탐험가 제임스 후퍼와 함께 기부 라이딩 캠페인도 진행된다.



 

제임스 후퍼는 JTBC 방송 프로그램인 비정상회담영국 대표 패널,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출연을 통해 국내에 알려졌으며, 에베레스트 영국 최연소 등정(2016), 내셔널지오그래픽 올해의 모험가상(2008), 북극과 남극 42,000Km의 거리를 무동력으로 횡단하는 폴투폴 탐험(2008) 등의 경력을 가진 모험가이다.

 

제임스 후퍼의 원 마일 클로저는 지난 20091월 몽블랑에서 안타까운 사고로 세상을 떠난 탐험가이자 그의 친구인 롭 건틀렛(Rob Gauntlett)과 제임스 애킨슨(James Atkinson)의 모험과 도전정신을 기리기 위해 만든 자전거 라이딩 기부 프로젝트이다. 첫 시작은 이처럼 애도를 표하기 위함이었지만, 해를 거듭하면서 제3세계 학생들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기부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캠페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국제사이클링 페스티벌은 제주 천혜의 자연 경관을 전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해 2016년부터 진행해온 대회로, 올해에는 제임스 후퍼와 함께 손을 맞잡았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관광공사에서 기획한 'T-Campaign'(사이클페스티벌(Tourism)을 통해 다 같이(Together) 즐기고, 동참하여 국내외 어린이들의 재능(Talent)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캠페인) 사회공헌활동 캠페인을 통해 도내아동재활시설 및 우간다 나랑고 학교에 기부될 예정이다.

 

이번 2018 제주 국제사이클링 페스티벌 사이클, MTB로 참여할 수 있으며 경쟁과 비경쟁 부문으로 나뉜다. 경쟁 부문은 플레이스 캠프 제주를 출발해 성산포, 월정리를 거쳐 다시 돌아오는 총 60km 거리(투어 30km+대회 30km)로 진행된다. 비경쟁 부문은 총 34km로 출발지는 동일하며 세화에서 제주항일운동기념공원, 성산포를 거쳐 되돌아오면 된다. 이밖에 오프닝쇼, 각종 레크리에이션이 준비되어 있으며, 경기가 끝난 뒤에는 플레이스 캠프 제주에서 즐기는 비어파티도 준비된다.

 

행사는 제주특별자치도 주최, 제주관광공사가 주관하며, 플레이스 캠프 제주, 티웨이 항공, 한라일보 등 도내 다양한 협력기관이 ‘T-Campaign’에 동참하여 후원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