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칼럼)인물론, 그 허망함에 대하여

'옳은 길을 가야 진정한 인물이다'

가난한 선비의 집안에서 태어난 한 영민한 아이가 있었다.

 

공부할 여건을 갖추지 못한 집안인지라, 그의 부모는 일찍 그를 일가붙이 세도가의 양자로 보낸다.

 

25살 때 모든 사람들이 경원해 마지않는 국가고시에 합격’, 그는 출세길을 달렸다.

 

그가 처음 양부모님 집에 간 날, 양 어머니는 정성껏 밥을 차려 냈다.

 

고기를 질기게 씹는 듯한 모습에 양 어머니는 고기가 질기면 뱉어내라고 했다.

 

하지만 어린 그는 한번 입안에 넣은 음식을 어떻게 뱉을 수 있습니까라고 대답해 주변 사람들을 기쁘게 했다.

 

똑똑하고 말 잘하는 아이를 제대로 선택했다는 기쁨이었으리라.

 

벼슬길에 오른 후 그는 시대에 따라 변신을 거듭했다.

 

수구에서 처음에는 친미적이었다.

 

이후 친러시아 정치인이 되고 고종의 아관파천을 주도했다.

 

다음번엔 친일이 되어 고종 퇴위에 앞장섰고 결국 을사늑약을 체결하기에 이른다.

 

친일파. 매국노의 대명사인 이완용(李完用, 1858~1926)의 행적을 간추린 것이다. (출처. 이이화의 인물한국사)

 

그의 생을 줄이면, 처세술로 변신을 거듭하면서 백성을 위한 삶을 살기보다는 자신의 출세를 위한 삶만을 살았다는 것.


또 한 사내가 있다.


찢어지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그는 힘들게 일류대학에 입학했다.


반정부 시위에 참여했던 전력탓에 취직도 쉽지 않았다고 술회했다.


우여곡절 끝에 입사한 대기업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승승장구했고 이 나라 샐러리맨들의 우상이 됐다.


심지어는 공중파에서 그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국회의원, 서울시장, 대통령으로 거듭 출세했다.


지금은, 뇌물혐의로 교도소에 갇혔고 산자부가 검찰에 수사의뢰한 '14조원 자원외교 국고손실'의 지휘자라는 의심을 받고 있다.


수십조원을 퍼부어 4대강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국토를 파헤쳤다는 비난도 그의 몫이다.


그는 이명박이다.


'개천에서 용난' 인물이라는 평가의 주인공이지만 '잘못된 인물'이 얼마나 주변에 피해를 끼치는 지 증명해 준 인물이기도 하다.


 

한사람이 있다.

 

처음처럼의 고 신영복(申榮福)교수다.

 

아버지가 교장으로 근무했던 경상남도 의령의 간이학교 사택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이후 아버지의 고향인 밀양 등지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부산상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그는 1965년 숙명여자대학교 정경대학에서 경제학과 강사로 있으면서 안병직 등을 따라 잡지 청맥의 예비 필자 모임인 '새문화연구원'에 참석하면서 훗날 '통일혁명당사건'에 연루된다.

 

1966년부터 육군사관학교에서 경제학과 교관으로 활동하다가 1968년 통일혁명당사건으로 중앙정보부(지금의 국가정보원)에서 조사를 받고 구속되었다. 이 사건으로 김종태·이문규·김질락은 사형을 당했고, 그는 여러 차례 재판 끝에 무기징역형을 받고 안양과 대전, 전주교도소에서 복역했다.

 

19888·15특별 가석방으로 감옥에 잡혀간 지 2020일 만에 출옥했다.

 

같은 해 옥중에서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를 묶어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란 이름으로 발간했다.

 

지금도 널리 읽히는 명저다.

 

성공회교수로 재직하다 2016115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어렸을 때 할아버지에게 서예를 배우기도 했던 그는 대전교도소 복역 시절 한학자 노촌(老村) 이구영(李九榮)4년간 한 방을 쓰면서 한학과 서예를 익혔다.

 

성공회대학교 재직 시절 그의 글씨와 그림으로 학교 달력을 만들 정도로 그의 붓글씨는 획의 굵기와 리듬에 변화가 많아서 '신영복체'·'어깨동무체'·'협동체'·'연대체'로도 불린다.

 

성공회대학교 퇴임 무렵 두산에서 브랜드명과 상표 글씨체로 시 처음처럼의 제목과 글씨를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수락하고 받은 1억 원을 성공회대학교에 기부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 출범당시 교육부 장관직을 제의 받았으나 이를 거절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억울한 누명을 쓰고 대학에 복귀한 후 부총리급 예우를 받는 교육부 장관에 오를 기회였지만 그는 걷어차고 후학양성에 매진했다.

 

통혁당 사건은 결국 무죄였다고 법원은 최종 판결을 내렸다.

 

세 사람 중 과연 누가 인물이었을까.

 

세칭 인물은 출세를 필요조건으로 꼽는다.

 

무슨 무슨 직을 지내야 하고 이 나라에서 어떠한 기득권을 가져야 인물이라 일컫는다.

 

똑똑하고 영민한 촌아이가 세도가의 힘을 빌려 장원급제한 후 지금의 외교부장관으로 출세한 이완용,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정상을 향해 달리며 주변과 국민들을 피곤하게 만든 이명박 전 대통령,  ‘옳고 바른길을 걷다 엄혹한 시대에 고난을 겪어야만 했던 신영복중 누가 인물인지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을사늑약의 공로로 일제강점기 시절 엄청난 권세를 누렸던 이완용의 후손들은 이름을 숨기고 미국에서 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지금 영어의 몸이 돼 부패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반면 오랜 고초를 겪으면서도 옮음을 저버리지 않았던 신영복 교수의 처음처럼글씨는 우리 주변에서 마음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깨어있는 시민들의 등불이기도 하다.

    

인물론’, 참 허망한 논리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연습을 실전처럼’ 제주도, 2025년 을지연습 돌입
제주특별자치도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도내 전역에서 2025년 을지연습을 실시한다. 을지연습은 전시ㆍ사변 등 국가비상사태 발생 시 국가안보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비상대비계획을 점검ㆍ보완하고, 전시 임무 수행 절차를 숙달하기 위해 연 1회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비상대비연습이다. 이번 연습은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기상황을 가정해 을지연습 전 실시하는 위기관리연습(CMX)과 전쟁 발발 이후를 상정한 국가총력전연습(을지연습)으로 나눠 진행된다. 제주도는 연습 1일차인 18일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불시 비상소집을 실시했으며, 행정조직을 전시조직으로 전환하고 전시종합상황실을 구성·운영했다. 이번 을지연습의 주요 목표는 국가총력전 수행태세 확립과 제주지역 안전보장을 위한 최상의 비상대비태세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연습은 ‘변화하는 안보상황에 대한 조치능력 배양 및 안보의식 고취’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제주도는 비상대비태세 능력 강화를 위해 복합상황을 가정한 다양한 사건계획을 처리하는 도상연습(메시지 처리), 기관장이 주재해 현안과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전시 현안과제 토의, 인력·물자·장비 동원 등 유관기관과의 실제 합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