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제13회 제주MBC 국제평화마라톤대회 ‘성황’

 

13회 제주MBC 국제평화마라톤대회가 27일 한림종합운동장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주 4.3의 아픔을 화합으로 치유하고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중국과 케냐, 영국 등 외국인 400여명을 비롯해 4,200여명의 마라토너가 참가하였으며 경승용차 등 다양한 경품과 이벤트가 그 열기를 더했다.

 

특히, 중국 허베이성에서 제주국제평화마라톤에 100여 명이 단체로 출전하고 허베이TV는 마라톤 대회를 포함한 이들의 제주여행기를 창유천하란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할 계획이어서 마라톤 대회가 관광상품으로 자리 잡고 제주를 알리는데도 큰 도움을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날 대회는 제주시 한림종합운동장에서 출발해 한경면 고산리를 왕복하는 코스로 10km 남자부, 여자부 하프코스 남자부, 여자부 풀코스 남자부, 여자부 하프코스 단체전 풀코스 단체전 등으로 진행됐다.

 

 

 

남자 풀코스에서는 제주시 강한종 선수가 2시간 4703초의 기록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여자부 풀코스에서는 중국에서 온 ZHANG SHUANG 선수가 3시간 1529초로 가장 먼저 결승점을 통과했다.

 

하프 코스 남자부는 케냐에서 온 ELIJAH THIGA MBUTHIA, 여자부는 천안시 손호경 선수가 각각 우승을 거머쥐었다.

 

한편 오늘 대회의 경품행사에서는 중국에서 온 WANG WANLI 선수가 경승용차의 행운을 안았다.

 

 

 

 

 

 

2016 제주MBC 국제평화마라톤 입상현황

 

종목

성별

순위

이름

지역

기록

하프코스

남자

1

ELIJAH THIGA MBUTHIA

케냐

01:12:51.80

 

 

2

김봉주

제주 제주시

01:12:57.78

 

 

3

하영헌

제주 제주시

01:17:37.13

 

 

4

강진기

전북 전주시

01:21:04.27

 

 

5

박민주

제주 제주시

01:21:43.29

 

여자

1

손호경

충남 천안시

01:30:01.20

 

 

2

이두이

대전광역시

01:33:18.30

 

 

3

김순영

제주 제주시

01:33:59.51

 

 

4

이연희

제주 제주시

01:35:25.40

 

 

5

박은이

경기 용인시

01:45:03.77

풀코스

남자

1

강한종

제주 제주시

02:47:02.90

 

 

2

박승찬

제주 제주시

02:47:45.84

 

 

3

성백선

서울특별시

02:55:11.97

 

 

4

유종근

인천광역시

03:01:47.96

 

 

5

JOHN WITTON

영국

03:02:18.12

 

여자

1

ZHANG SHUANG

중국

03:15:28.70

 

 

2

문선미

경기 안양시

03:21:47.36

 

 

3

오혜신

제주 서귀포시

03:31:30.76

 

 

4

김용경

대전광역시

03:42:45.90

 

 

5

강행숙

제주 제주시

03:43:31.77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