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변도규씨는 산업정보대학 스포츠산업계열 교수며 골프과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골프채(Club)의 역사

1) 초창기 클럽
골프와 함께 클럽(골프채)도 함께 발전을 거듭했다. 골프 클럽의 기원은 양치기
소년들이 휘두르던 단순한 막대기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의 클럽으로 발전해 왔다.

아득한 옛날 일로 이 클럽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없고 다만 막대기를 이용하여 돌을 멀리
보낸다든가 또 어떤 구멍에 넣는다는 정도로 기량을 겨뤘을 것이라는 추론이 있을 뿐이다.
‘막대기설’에 비중을 둔다면 골프가 실시된 장소, 사용된 도구 , 또 경기의 내용 등을 종합하여 현재와 비교하여 볼때 그 원형이 이루어진 곳은 600년전의 스코틀랜드가 가장 유력하다

초기의 우드 형체와 구조에서 큰 특징의 하나는 우드 클럽의 헤드 ( head ) 타면이 예외없이
얇고 긴 것으로 롱노즈라고 불렀다. 심지어 어떤 것은 클럽 헤드의 힐 (Heel)에서 헤드의 끝가지 6인치인 것이 있었다. 클럽은 신체조건에 맞게 만들어진 것이 아닌 길고 짧은 것으로 차이를 두었다.

발생시기 클럽 소재는 오얏나무, 살구나무 등 모두 과수목재 였다. 공은 나무공을 전제로 생각할 수밖에 없고 샤프트는 길면서도 가늘며, 헤드는 로프트 (수직면과 이루는 페이스 각도)없는 평평한 수직 페이스 모양의 것으로 요즈음 클럽보다 배이상 무거워 총중량이 600g대라는 무거운 클럽이었따. 탄력성이 약한 샤프트나 반발력이 없는 나무공과의 세트이니만큼 스윙의 반경을 크게하여 비거리를 내려는 생각으로 클럽의 길이를 길게, 또 쉽게 휘두르기 위하여 로프트가 없는 평평한 것으로 했을 것이다. 가늘고 긴 헤드에서는 자연적으로 공에 닿는 면저을 넓게 하기 위해서 넓은 페이스가 필요하였을 것이다. 헤드의 무게가 무거운 이유는 과수목재가 일반적으로 비중이 무겁고 강도가 떨어지므로 부러지지 않도록 두텁게 굵기가 굵은 나무를 선택했기 때문일 것이다.


클럽으로 명칭이 붙기 시작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는 과수목시대에는 세트의 편성은 3, 4개 정도로 우드가 전부였으며 이 우드는 길이와 로프트만의 차이로 만들어 제작됐다.
아이언 클럽이 나오기 전까지는 목재를 이용한 순수한 우드 소재의 클럽이 골프클럽의 전부였다.

클럽의 역사 가운데서 메이커의 이름을 붙기 시작한 것은 1600년대부터라고 볼 수 있다.
월리엄 ˙ 메인 ˙ 안드레이 ˙ 딕슨 ˙ 헨리 ˙ 밀 같은 사람들의 이름은 전문 메이커로써 나왔다는 증거였다. 딱딱한 나무공에서 부드러운 깃털공이 나오는 시기였으므로 클럽에서도 소재의 변화를 시도하는 계기였다. 샤프트는 과수목에서 물푸레나무등의 재료로 바뀌었는데 여태껏 사용하던 과수목에 비해 물푸레나무는 비중이 가벼우면서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가늘게 만들 수 있었다. 골프 크럽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스코틀랜드의 트룬 골프클럽에 소장되어 있는 것 으로 1530년대 제작으로 추측되는 6개의 우드와 2개의 아이언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소방, 의용소방대와 함께 쓰담달리기(플로깅) 릴레이 돌입
제주의 청정 해안을 지키기 위해 소방안전본부와 의용소방대가 섬마을을 찾아가 쓰레기를 줍고 환경정화 활동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본부장 주영국)는 10일 도 의용소방대연합회(남성회장 최운철, 여성회장 이미경)와 함께 제주시 우도에서 ‘쓰담달리기(플로깅)’ 행사를 열고 해안 정화 활동을 전개했다. 이번 행사는 ‘안전한 제주! 청정한 제주! 의용소방대와 함께!’라는 슬로건 아래, 도민과 관광객 모두가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깨끗한 해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주영국 소방안전본부장을 비롯한 소방공무원 20명과 의용소방대원 300명 등 총 320여 명이 참여해 우도 해변 일대를 중심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환경정비 활동을 펼쳤다. 참여자들은 해안가 지형에 따라 구간을 나눠 쓰레기를 줍는 동시에, 낙상이나 미끄러짐 등 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구역에 안전관리관을 배치하는 등 철저한 안전조치를 병행했다. 행사 종료 후에는 참가자들이 지역 식당을 이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힘을 보탰다. 이번 우도 행사는 ‘섬마을 해안 쓰담달리기(플로깅) 릴레이’의 시작점으로, 오는 16일까지 마라도, 추자도, 비양도, 가파도 등지에서도 순차적으로 환경정화 활동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