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안전집이 뜬다.
노인 안전집이 뜬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의 보고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의 안전사고가 2004년 304건, 2005년 500건, 2006년 78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인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바로 우리가 가장 안전하다고 여기는 ‘가정’이다. 가정 내 노인 안전사고 유형으로는 ‘추락, 넘어짐, 미끄러짐’ 사고가 61.1%(645건)로 가장 많았으며 화장실, 욕실에서의 사고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노인안전 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노인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 그렇기도 하지만 가정에서의 사소한 것들도 노인에게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제는 노인 안전사고에서 가장 많은 유형인 추락과 같은 낙상이 75세 이상 노인 사고사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노인이 젊은 사람에 비해 청력과 시력 등의 감각기관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고 면역능력의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1960년 이래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 그리고 보건 위생의 개선 등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65세 이상 전국노인 인구는 1960년 82만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