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를 행복과 희망의 1번지로 만들겠다는 시정목표를 내걸고 시장에 취임한 지 어느덧 100일을 앞두고 있다. 그동안 읍면동 연두방문에 이은 시민과의 대화를 비롯해 주요 경제현장과 각종 행사 참석 등을 통해 많은 시민들을 만나면서, 시민들의 진정한 고민과 걱정, 그리고 바람과 기대를 읽을 수 있었다. 현재 서귀포시 지역에는 37개 국가의 시책사업과 민간에서 투자하는 사업이 새롭게 추진되면서 이미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착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여기에는 13조5천억 원의 막대한 사업비가 투자되는데, 이는 월드컵경기장 100개 이상을 짓는 것과 맞먹을 정도의 투자규모가 된다. 그러나 기존 도심권 사업은 많은 예산이 필요하거나 일부의 반대 의견에 막혀 오랜기간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면서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중정로 도시계획도로 확장과 삼매봉공원 조성계획이다. 중정로의 경우 1986년 도로의 확장계획이 수립된 이후 사업추진이 원점을 맴돌면서 건물의 증·개축은 물론 불법 주·정차로 인한 교통 혼잡, 상권 침체, 무질서한 간판과 가로 미관 저해 등으로 여러 가지 민원이 발생해 왔다. 이에 서귀포시에서는 앞으로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들어 확정하겠지만
민원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궁금할 때는 120번을 누르십시오 ― 유명한 미래학자 마이클 해머는 21세기를 3C의 시대로 표현했는데 여기서 3C란 Change(변화), Competition(경쟁), Customer(고객)을 가르킨다.변화를 읽고 대처하는 능력에 따라, 선점과 핵심역량을 길러 경쟁력을 어떻게 강화하는가에 따라, 고객을 얼마나 존중하는가에 따라 조직이나 개인의 성공여부가 결정된다는 말이다.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모든 분야에서 고품질의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다.세상이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음에도 미래에 대응하지 못하고 규정이나 과거의 관행에만 얽매여서 구태의연한 행정행태가 계속된다면 주민은 행정을 외면하고 신뢰할 수 없을 것이다.특별자치도 출범이후 민원행정도 주민들의 새로운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합리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그 어느 때 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아진다.이에 발맞춰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전화민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응대하고 이 부서 저 부서로 안내하는 전화돌림 불편을 해소함은 물론 더 나아가 행정기관이 직접 도민을 찾아가서 민원을 상담 해결해 줌으로써 고객감동으로 이어지는 최고의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민원원스톱 일사천리(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