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생활개선사업의 변천과 환경변화
농촌생활개선사업의 변천과 환경변화
농촌생활개선사업이 시작된 지 어느덧 50년. 농촌생활개선사업이란 농업인을 대상으로 균형식 섭취, 농촌주거환경개선, 농사일에 적합한 의생활과 작업환경개선, 가정경제의 합리적 운영, 자녀교육, 바람직한 가족관계 등에 대한 사회교육을 통하여 생활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고 1957년에 공포된 농사교도법 제1조에 명시되었다. 1958년 3월에 가정교도원(현 생활지도사)이 배치되어 농촌생활개선사업을 담당하면서 농가의 衣, 食, 住생활과 가정관리 등의 지도기반인 학습단체가 '생활개선구락부'인 것이다. 그 후 농촌진흥법에 의거 농가생활 및 지역농업발전에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과 농업인이 자발적으로 실천하고 노력하여 여건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일종의 사회교육사업이다. 1960년대의 절대 빈곤과 식량부족의 시기를 지나 1970년대 식량증산을 위한 녹색혁명의 완수, 1980년대 백색혁명, 1990년대를 거쳐 21세기는 국제화시대에 대응한 농업의 경쟁력이 가장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농업은 기후와 물, 토양 등 재배환경도 끊임없이 변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간 정보교류의 소통으로 생산이력제가 도입되고 있어 향후 어떤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