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긴꼬리가 사라져버린 긴꼬리딱새

여름철 화려한 색상으로 암컷 유혹...번식후 마술처럼 줄어드는 '꼬리'

우리나라에서 아름다운 새 하면 어떤 새들이 떠오를까요?

 

나름대로 많은 새 이름이 나올 수 있겠지만 아마 긴꼬리딱새도 꼭 포함 될거라는 자신감? 까지도 생긴다.

 

긴꼬리딱새!

 

 

예전에는 삼광조(三光鳥)라고도 했다. 삼광조가 일본식 이름이라 우리식으로 긴꼬리가 특징이라 긴꼬리딱새로 바뀌어 가고 있는 새이다.

 

긴꼬리딱새는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겨울을 보내고 여름이면 한라산 계곡과 남해안 일부에서와 일본에서 번식한다. 공중을 날아다니면서 나방이나 나비, 벌레들을 낚아챈다고 하여 ‘flycatcher’라고 영어 이름을 붙인 새다.

 

‘paradise’는 아마 생김새가 부리와 눈테가 파란색을 띄고 있어서 마치 안경을 끼고 있는 듯이 우아하고 천국에서나 봄직한 새라서 붙인 이름이 아닐까 한다. 

 

암컷의 크기는 약 19cm정도 인데 비해 수컷은 꼬리의 길이만도 35cm 정도이니 날아가는 모습을 보노라면 환상 그 자체이며 꼬리가 매우 길어서 봉황의 꼬리를 가졌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꼬리가 지나치게 길면 생활하기 불편하기도 할 것이다. 너무 화려해서 천적의 눈에 잘 띄어 생명이 위험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먹이를 사냥할 때도 빨리 움직일 수 없어서 먹이 잡는데도 불편할 것이다.

 

 

그러면 왜 긴 꼬리를 가지는 걸까.

 

진화생물학자들은 이것을 성선택(sexual selection)이라고 얘기 한다. 성선택이란 동물이 생식할 때, 짝을 얻는데에 적절한 형질만이 자손에게 남아 진화에 관계된다는 학설이다.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칠면조의 붉고 주름진 벼슬과 숫코끼리의 상아, 공작새의 화려한 꼬리가 바로 그것들이다.

 

긴고리딱새도 꼬리가 길게 자라 멋있게 보임으로써 암컷을 차지하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진화 한 것이다. 긴꼬리가 다소 위험해 보이기는 하지만 암컷들에게 잘 보여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많이 전하려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비단 긴꼬리딱새만이 아니라 많은 새들이 이에 속하는 범주가 많으며 다른 동물에서도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대부분의 새들은 여름(번식기)이면 화려한 색깔을 띄었다가 가을이 되면서는 평범한 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긴꼬리딱새 수컷도 봄이 되면서 꼬리가 점점 자라게 된다. 번식이 끝나면 다시 꼬리는 짧아진다.

 

긴꼬리딱새는 6월부터 번식에 들어가기 시작하여 8월까지 마무리를 하게 된다.

 

 

 

 

‘Y'자형의 가는 나뭇가지나 넝쿨 사이에 이끼와 거미줄을 이용하여 둥지를 만든다. 주로 나무꼭대기 부근에서 생활하며 모기나 나방같은 먹이를 낚아채는데 거의 땅에는 내려 앉지 않는다. 매우 적은 수가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계곡이나 울창한 숲에서 번식하는데 주 번식지는 한라산이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 목록에 오른 멸종위기 2급이며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는 희귀 조류로 보호가 시급한 종이며 최근 육지부에서도 번식이 확인되고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보건소,‘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실시
제주보건소는 지난 18일 보건교육실에서 ‘2025년 생물테러 대비·대응 소규모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생물테러는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해 인명 살상이나 질병 유발을 목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는 테러 행위를 말한다. 현재 법정 생물테러감염병은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바이러스병, 라싸열, 두창, 야토병 총 8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 훈련은 생물테러(의심)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과 초동대응요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에는 도내 6개 보건소를 비롯해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 60여 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기관별 역할을 숙지하는 이론교육과 함께 ▲생물테러 대응절차 실습, ▲개인보호복(Level A·C) 착·탈의, ▲다중탐지키트 사용 및 검체 이송 등 실제 상황을 가정한 실습 훈련을 병행했다. 특히, 제주보건소는 ‘생물테러 현장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훈련을 진행했으며, 기관별 의견 수렴과 협의를 통해 실제적이고 유기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박주연 감염예방의약과장은 “이번 훈련은 초동대응요원의 현장 대응력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