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와이드포토

호랑이 없는 제주에 호랑이 전설이…

 

2010년은 호랑이의 해 경인년(庚寅年)이다.

 

올 한 해 호랑이 처럼 활기차고 맹렬하게 희망을 갖고 모든 이들이 새해를 설계한다.

 

제주도는 호랑이가 없는 섬으로 알려 졌지만, 호랑이에 대한 이야기를 갖는 섬이 있다.

 

바로 범섬이다. 서귀포 항에서 남서쪽으로 5km 해상에 위치해 있고, 법환동 앞 바다에 있는 범섬(호랑이 섬)이다.

 

이 섬은 문섬 곁을 지나면서 정면을 바라다보면 흡사 공작새가 꼬리를 펼쳐 놓은 것과 닮은 섬 모습을 보여 공작새 바위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 섬은 한라산 정상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흡사 한 마리의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아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범 호(虎)' '섬 도(島)'자를 써서 호도(虎島) 또는 범섬이라고 불린다.

 

물론 전설에 불과하지만...

 

그래서 이 섬에는 고양이를 기를 수 없다고 하지만, 지금은 약용으로 쓰인다는 토끼가 살고 있으며, 또, 흑염소와 흑비둘기도 서식하고 있고, 상록활엽수림 지대를 이루고 있다.

 

범섬은 둘레는 온통 절벽으로 이루어졌고, 약 2㎞에 달하며, 섬의 정상은 약 3만 평의 평평한 초원이다.

 

역사적으로도 유례가 깊은 섬인데, 고려 공민왕 23년 '목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제주도로 출정한 최영 장군이 이곳 법섬에서 목호의 무리들을 최후로 격파시킨 곳으로 유명하다.

 

또, 여·몽 연합군이 파군봉에서 삼별초 군을 토벌한 것을 계기로 1275년 (충열왕 1년)부터 제주도는 고려에서 분리돼 원(몽고)에 예속되기도 했다.

 

범섬을 한 바퀴 돌다보면 4개의 동굴을 보게 된되는데, 그중 첫 번째맞이하는 동굴이 높이와 길이가 약 20m, 너비 약 18m의 '석굴'이고, 두번째 동굴은 깊이 약 70m, 높이 약 5m, 너비 약 5m의 'ㄱ'자 모양으로 생긴 굴이라 해서 'ㄱ자 굴'이라고 불린다.

 

또, 본섬 옆에는 조그만 섬이 보이는데, 흡사 한 여인이 한복 치마를 곱게 차려 입고 양손을 무릎 위에 단정히 올려놓은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치마섬'이라고 불리며,  흡사 장군이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장군바위'라고도 불린다.


범섬의 섬의 세 번째 네 번째 동굴인 '쌍둥이굴'이 보인이는데, 설문대할머니가 오백 아들을 낳으면서두 발로 뻥뻥 걷어 찬 것이 쌍둥이 굴이 생겨났다고 한다. 

 

범섬 주변 바다 속에는 기복이 심한 암초가 깔려있어, 참돔, 돌돔, 감성돔, 벵어돔, 자바리, 다랑어, 방어 같은 고기가 낚시꾼들을 즐겁게 해주는 낚시꾼들의 천국이기도 하다.

 

올해, '경인년' 호랑이의 기운이 남쪽 섬인 범섬을 시작해 제주도는 물론, 전국에 퍼저 국가의 상징처럼 맹호를 떨치기를 기대해 본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