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자유도시 완성, 연어에게 배운다

 
올해도 어김없이 강원도 양양 남대천으로 연어가 돌아오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한다. 한 마리의 연어가 남대천에서 태어나 거친 북태평양을 가로 질러 베링 해와 오호츠크 해를 거쳐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돌아오는 마지막 여행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하천에서 태어난 연어가 바다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강과 바다는 염분농도를 포함하여 생활환경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아가미부터 먼저 바닷물에 적응하게 변해야 한다. 또한 거친 파도를 헤치고 나가기 위해 몸은 유선형이 된다.

이처럼 연어가 하천에서 산란·부화한 후 바다로 나갈 준비를 하기 위해 변태하는 단계를 전문용어로 스몰트(smolt)라고 하는데, 새로운 도전을 하기 위해 몸이나 마음을 변화 시킬 때 스몰트화 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제주도는 전 세계 어느 곳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다. 유네스코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화산섬 제주와 용암동굴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하였다.

또한 2002년 정부로부터 국제자유도시로 지정된 이후 사람과 자본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완전한 국제자유도시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또 그 결실들이 맺어지고 있다. 특별자치도 완성을 위한 4단계 제도개선을 추진 중에 있으며, 효율적인 행정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행정구조를 개편하였다. 또한 투자환경을 조성하여 투자유치가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과를 거두기 시작하는 2011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가 60여만명의 상주인구와 1천만명의 관광객이 자유롭게 왕래하며 생활하는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어와 비교해 볼 때 우리 도는 이미 스몰트화 되어 태평양으로 헤엄쳐 나가기만 하면 되는 상태, 즉 국제자유도시 완성 직전이라고 판단된다. 높은 파도가 기다리고 있을지 몰라도 그것이 곧 기회이고 희망이라는 믿음으로 용기를 가져서 나가기만 한다면 우리가 꿈꾸었던 국제자유도시완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요즘 우리 도가 이런저런 이유로 국제자유도시 완성 전에 여기저기서 마지막 진통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여기서 멈춰서 바다에 나갈 수 있어도 나가지 못하는 용기 없는 송어가 될 것인가, 아니면 태평양을 무대로 살아가는 연어가 될 것인가를 생각하며 분열하지 말고 우리의 역량을 집결해 나가야 하겠다.

서귀포시 해양수산과 연안환경관리담당 김종수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