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글의 우수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우리 공공기관들은 요즘 앞 다퉈 기관의 이름을 외래어로 바꾸고 있다. 2007년 9월 전국의 동사무소의 명칭이 동주민센터로 바뀌었다. 당시 이에 대해 찬성하는 측은 ‘센터’라는 단어가 이미 보편화 되었다는 주장을 했었고, 반대하는 측은 공공기관의 명칭에 외래어가 사용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주장을 하였다. 결과는 3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전국 2천 백여 개 동사무소의 명칭을 동주민센터로 바꾸었다.

또한 경찰파출소는 ‘치안센터’로, 소방파출소도 ‘119 안전센터’로 한국철도공사는 ‘코레일’로 이외에도 많은 공공기관들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뀌었으며 아직까지 공공기관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뀐 사실을 많은 주민들이 모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행정에서 공문서나 회의 자료 작성시 한글 대신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사용서로 표기하면 될 것을 ‘매뉴얼'이라 표기하며, 도정구호로 표기하면 될 것을 ’브랜드 슬로건‘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리플릿, 워크숍, 프로젝트, 비전, 인프라, 로드맵, 벤치마킹, 멘토링‘등 수많은 말들을 외래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어렵고 난해한 외래어가 무차별적으로 사용되면서 공문서를 작성하는 공무원들조차 특정 외래어가 무슨 의미인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일상생활에서의 외래어 남용은 더욱 심각한 지경이다.


또한 젖먹이부터 직장인까지 온 나라가 ‘영어 학습 열풍’에 휩싸여 있다. ‘열풍’이 아니라 ‘광풍’이라고 표현해야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영어를 잘 하기 위해 해외 어학연수를 보내고 영어발음을 좋아지게 하기 위해 혀 수술까지 하는 등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영어몰입교육’과 영어 조기교육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국제화시대에 영어의 중요성은 결코 부인할 수 없을 것이며, 특히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는 제주에서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 영어가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행정기관에서 국제화를 지향하는 것이 마치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주민들에게 잘못된 생각을 심어주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되며,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기관에서부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지난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된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행정안전부에 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8.8%가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찬성했다고 한다. 물론 여러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할 일이지만 요즘같이 외래어가 남용되는 현실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행정기관부터 외래어 대신 한글을 사용하도록 노력하자.

제주시 재난안전관리과 강승훈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