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녹색 생활문화(CO₂↓)실천, 나부터!

 
“당신은 오늘 탄소를 얼마나 배출 하셨습니까?”

머지않은 미래 우리는 이렇게 서로의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며, 심한 병이 들어가고 있는 지구의 앞날을 걱정해야 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남태평양에 위치한 투발루섬이 가라앉고, 빙하가 녹아 북극곰의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은 더 이상 흥미로운 해외토픽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온실가스 배출량이 6위, 총배출량에서 3.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제주도 또한 한반도에서 기후변화 영향이 가장 심한 지역 중 하나로, 한라산에서 서식하고 있는 구상나무 고사 위기, 안덕면 사계리 소재 용머리 해안의 해수면 상승, 제주 특산 자리돔의 북상 등 구체적인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지난 2월 16일 정부(녹색성장위원회)에서 제주특별자치도를 강원도와 더불어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탄소제로 시범도시로 선정함에 따라 우리시도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도 기준에서 1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태양열(광) 이용시설, 풍력발전사업 지원 등) 및 보급․확산 탄소 흡수원 확충을 위한 조성사업(500만 그루 녹색나무심기 운동, 자전거도로, 보관대 시설 등 자전거 이용 활성화 사업) 추진 친환경 Bio 1차산업 등을 적극 육성 지원할 계획이다.

그리고 역점시책인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탄소포인트제를 추진, 전기사용 에너지 절약감축분을 포인트로 환산해서 감축에 참여하는 공동주택 소유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인바 시민들의 적극적인 시책 참여를 당부한다.

특히, 서귀포시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관련하여 서귀포시 의제21협의회 등 민간(단체) 주도 아래 에너지 절약(전기 한등 끄기 운동 등), 녹색나무심기 운동(1가구 1그루 나무심기운동, 1화분 꽃 심어주기 운동 등), 자전거 타기운동(가까운 거리 자전거 이용하기 등) 확산, 기후변화 프로그램 운영 등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녹색 환경 시민 실천운동으로 확대 시켜 나가는데 행정적인 지원을 최대한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아름다운 녹색 제주도를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 온실가스(CO₂등) 감축 운동에 시민 모두가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시 환경관리담당 오용승.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제주자치경찰단, 주민과 손잡고 아이들 통학길 안전 지킨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은 새 학기를 맞아 주민봉사대와 함께 초등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 캠페인과 노후 시설물 안전 점검을 합동으로 추진한다. 올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는 4건(5월 기준) 발생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며, 자치경찰단은 어린이 사고를 한 건이라도 줄이기 위해 홍보 활동과 시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37개교에 약 5억 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옐로카펫, 노란색 횡단보도, 신호등 설치·개선으로 시인성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주민자치경찰대와 학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합동 캠페인을 전개하며 어린이 보호구역 내 올바른 보행 지도, 불법 주정차 금지, 시속 30km 준수 등 어린이 우선 보호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 캠페인은 지난 1일 송당초·애월초를 시작으로 10일 함덕초 선인분교, 16일 선흘초, 19일 대흘초에서 순차적으로 열리며, 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교통지도 활동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학교 주변 신호등,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가로등, 펜스, 비상벨 등 노후 시설물 점검도 병행해 위험 요인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개선을 요청하고, 안전신문고 앱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