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와이드포토

앙드레김 패션쇼, 억새꽃축제와 함께

 
제15회 제주억새꽃축제가 지난 18일과 19일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새별오름 일대에서 열린 가운데 축제 마지막날인 19일 대한민국이 낳은 세계적인 디자이너 앙드레 김의 패션쇼가 개최됐다.

이날 '허니문! 사랑과 낭만 그리고 추억'이란 주제로 열린 앙드레 김 패션쇼는 행사가 시작되기전 한두차례 내린 비가 계속해서 내렸지만 앙드레 김의 패션쇼 강행의지로 진행됐다.

 
관람석을 가득메운 가운데 시작된 패션쇼에서 앙드레 김은 "45년전 1년차 디자이너였을 때 처음 제주를 방문했다"며 "놀라울 정도로 깨끗하고 품격있고 환경친화적인 제주도로 변모했다"고 말했다.

이어 앙드레 김은 "오늘 비는 아쉽지만 그렇지만 전국적으로 우리나라 남쪽에서는 식수가 모자라서 애태우고 있다"며 "비가 빨리 와줬으면 했다. 이비는 굉장히 귀하다."라며 축복의 비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앙드레 김은 "행사를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그쳤으면 한다"며 행사가 원만히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이어 행사를 주관하는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홍명표 회장은 "오늘 이좋은 행사로 제주관광이 세계 속으로 가장 힘차게 나갈 수 있으면 한다"며 "제주도 전지역이 억새축제장이다. 앙드레 김 선생의 작품을 보고 우리도 마음이 달라져 새로운 제주를 일궈나갔으면 한다"며 말했다.

'북극의 눈내리는 밤의 로맨스', '영원한 아름다움의 신비함', '잊을 수 없는 발리의 추억', '한국과 동양왕실의 전설', '일곱빛깔의 전설', '나의 영원한 사랑이여' 등 6가지 테마로 진행된 이날 패션쇼에는 앙드레 김 소속 모델 30여명 의상 144벌을 선보였다.

 
특히 '일곱빛깔의 전설'에서는 모델이 의상을 하나하나 벚으면셔 드러나는 새로운 의상을 선보여 보는 이들의 탄성을 자아내게 했다.

이날 패션쇼에는 '왕과 나'에서 폐비 윤씨의 아역으로 출연했던 탤런트 박보영과 이완이 출연해 행사를 빛냈다.

한편, 이날 앙드레 김은 지난 7월 제주자치도가 제정한 '홍보대사 운영조례'에 따라 첫 번째로 제주자치도 홍보대사에 위촉돼 앞으로 2년간 활동하게 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