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8.3℃
  • 맑음서울 5.4℃
  • 맑음대전 6.1℃
  • 맑음대구 8.2℃
  • 맑음울산 8.1℃
  • 맑음광주 8.0℃
  • 맑음부산 9.4℃
  • 맑음고창 6.9℃
  • 구름조금제주 11.0℃
  • 맑음강화 3.1℃
  • 맑음보은 5.5℃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8.8℃
  • 맑음경주시 8.0℃
  • 맑음거제 6.5℃
기상청 제공

(칼럼)청와대 터 나쁘다? 이해 못해

흉지라면 대한민국은 망했어야 하잖아

문재인 정부가 40일 남짓 남았다.

 

부동산 정책 실패 등으로 정권교체 목소리가 높아 결국 다음 정권이 보수 쪽으로 넘어 갔다.

 

하지만 평가할 것은 평가해줘야 한다.

 

UN에서 인정한 선진국, G7 연속 초청국, 세계 10위권내 경제 대국, 국방력 세계 6, 주가지수 3000대 등 성과도 상당하다.

 

동네 심방 안 알아 준다는 제주도 속담대로 외국의 평가와 국내의 잣대가 너무 다르다는 점이 눈에 띈다.

 

터가 나빠 청와대에서 하루도 잘 수 없다는 윤석열 당선인

 

평범한 사람들이 아는 풍수는 대략 이렇다.

 

북향집은 그늘이 짙어 피해야 한다, 집 밑에 수맥이 있으면 잔병이 잦다 정도.

 

조상들은 으뜸 집터를 뒤로는 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장소로 삼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좌청룡, 우백호가 나오면 전문가 영역에 해당돼 일반인들은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청와대는 터가 나빠 그곳에서 지낸 대통령들이 후환을 당한다는 말이 있다.

 

박정희의 경우 근처 궁정동에서 총을 맞았고 전두환. 노태우도 갇히는 신세가 됐다는 것.

 

또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극단적 선택을 했으며 이명박. 박근혜도 영어의 몸이 된 것 또한 청와대 터가 나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궁금해지는 것은 대통령 중심제 국가에서 대통령 집무실과 거처가 있는 청와대 터가 나빴다면 과연 지금의 대한민국은 어떻게 이룩된 것일까?

 

부지런한 국민, 자기희생을 마다치 않은 우리 부모님들의 덕이지만 무속에서 보는 대로 청와대 터가 흉지라면 대한민국도 경제적 혹은 민주적으로 이미 망한 나라였어야 앞뒤가 맞다는 생각이다.

 

대통령을 지낸 인물들의 불행은 결국 그 개인의 처신 탓이다.

 

있지도 않은 논두렁 시계로 모욕을 견디지 못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을 제외하면 나머지 인물들은 업보를 받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군사 쿠데타로 18년 철권 정치를 한 박정희를 비롯해 광주 시민들을 학살하면서 그 권력을 이어받은 전두환. 노태우, 멀쩡한 4대강을 파헤치고 자원외교 명목으로 국고를 탕진한 이명박, 국정농단을 일으킨 박근혜 등은 터가 나빠 대통령 이후 삶이 궁색해 졌을까?

 

아니다, 대통령제를 규정한 헌법이나 대통령 사저와 집무실로 이용됐던 청와대는 죄가 없다.

 

그 속에서 온갖 나쁜 짓을 한 사람들이 문제지 대한민국 정치 현대사의 상징인 청와대는 그들의 악행과 무관하다.

 

윤석열 당선인은 청와대로 들어갈 경우 공간이 의식을 지배하게 된다고 규정했다.

 

그래서 거기에 안주하게 되면 국민과의 소통과도 멀어진다고 강조했다.

 

지금도 연 40만명이 청와대 경내로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논외로 치더라도 진정 윤 당선인이 국민과 소통하고자 한다면 청와대의 담 하나를 더 허물면 될 일이다.

 

용산에 집무실을 마련하면 일반 국민이 아무렇지 않게 대통령 집무실로 찾아가 대화도 할 수 있고 막걸리 한잔을 기울일 수 있다는 말인지 도통 짐작하기 힘들다.

 

막대한 세금이 들어도 집무실을 이전하겠다는 것은 당선인의 의지에 해당한다는 일부의 너그러움도 반대한다.

 

만에 하나 다음 대통령이 청와대로 다시 집무실을 옮기겠다면 그때는 또 어찌할 것인가.

 

참으로 답답한 시국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도 안전감찰 전담기구 정기회의 개최…안전 강화 방안 논의
제주특별자치도가 재난관리책임기관들과 함께 올해 안전감찰 성과를 점검하고, 기후변화와 시설 노후화에 대비한 내년도 안전관리 방향을 논의했다. 제주도는 26일 오후 2시 제1청사 환경마루에서 ‘2025년 안전감찰 전담기구 협의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시, 공공기관 등 재난관리책임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기관별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재난관리체계, 기후위기 대응 기반시설 및 공공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 등이 제시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이러한 현안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공공건축물 공사장, 사회복지시설, 호우·대설 재난 대응체계 점검 등 2026년 안전감찰 추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불어 각 기관은 감찰·감사·점검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현장적 요소를 공유했다. 또한 실제 안전감찰 사례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선 방안을 협의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정보 공유와 협력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요소”라며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2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