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도, 사회 및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 공모

제주특별자치도는 ‘2021년 사회 및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사업운영 대상자를 28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이번 지원사업은 환경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처능력과 친환경실천의 생활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원대상은 제주도내 등록된 지 1년이 경과된 법인 또는 단체이며,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하고, 최근 2년 이내 환경교육 추진실적이 있어야 한다.

 

지원금액은 프로그램 1건당 1000만 원 이내이다.

 

지원분야는 사회환경교육과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2개 분야이며, 법인·단체별로 1개 프로그램에 한해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회환경교육 프로그램 공모분야는 사회적 소수자들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도민, 관광객을 위한 관광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역주민 공동체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역축제 및 체험마을 사업과 연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생활밀착형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아를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제주 생태·전통·문화 통합 프로그램 환경교육문화사업 프로그램 등이다.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공모분야는 일상생활에서의 친환경생활 실천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체험·탐구 프로그램 도민의 친환경생활 실천력 제고를 위한 교육·홍보·놀이 학습 프로그램 제주 고유의 전통의식과 지역적 환경특성을 고려한 생태기행 및 체험학습 프로그램 지역사회 및 도민의 실천적 환경교육프로그램 등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법인·단체는 지원신청서, 사업계획서 등의 서류를 구비해 28일까지 제주도청 환경정책과로 방문 또는 등기우편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도 누리집(http://www.jeju.go.kr) 입법·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하거나 도 환경정책과(710-6013)로 문의하면 된다.

 

제주도는 신청단체의 수행능력, 사업계획의 적정성, 사업예산의 타당성 등에 대해 전문가로 구성된 자체심사위원회 심사 및 환경보전기금운용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지원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허문정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역량 있는 환경교육 민간단체와 협력으로 더욱 다양하고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범도민 환경보전 인식제고에 힘쓰겠다많은 환경교육 단체들이 공모에 참여해 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