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3.8℃
  • 흐림강릉 11.8℃
  • 흐림서울 15.2℃
  • 구름많음대전 16.4℃
  • 흐림대구 13.2℃
  • 흐림울산 17.2℃
  • 흐림광주 18.2℃
  • 흐림부산 18.1℃
  • 구름많음고창 18.6℃
  • 제주 19.0℃
  • 흐림강화 14.1℃
  • 구름많음보은 15.7℃
  • 흐림금산 13.2℃
  • 흐림강진군 17.9℃
  • 흐림경주시 13.1℃
  • 흐림거제 17.9℃
기상청 제공

서귀포 미세먼지 줄어 쾌청한 날 증가

발생원별 맞춤형 저감대책 효과

서귀포시에 쾌청한 날이 늘고 있다.

서귀포시에서는 미세먼지 발생원별 맞춤형 저감대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30.84/, 초미세먼지(PM2.5) 평균농도는 16.31/2019년도에 비해 미세먼지는 11%, 초미세먼지는 14%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서귀포시가 밝힌 초미세먼지(PM2.5) 기준 평균농도(16.31/)는 올해 8월까지 서귀포시 측정소 4(대정읍, 남원읍, 성산읍, 동홍동)의 측정데이터의 평균치이며, 작년 같은 기간 평균 농도(18.58/)에 비해 2.27/감소하였다.

서귀포시 동홍동에서 측정된 올해 8월까지 대기 환경 분석자료에 의하면, 초미세먼지(PM2.5)가 좋음을 보인 날은 141(61%), 보통인 날은 83(36%), 나쁨인 날은 8(3%), 작년 같은 기간 좋음 126(54%), 보통 95(41%), 나쁨 11(5%)에 비해 좋음을 보인 날은 15일 증가하였고 나쁨을 보인 날은 3일 감소하여 대기가 쾌청한 날이 많았다.

초미세먼지(PM2.5)는 직경 2.5이하의 물질로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암모니아(NH3) 등 주로 사업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발생하는 물질이 대기 중 화학반응으로 2차 생성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 흡수시 폐점막까지 침투하여 기관지 염이나 폐질환의 원인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서귀포시는 2017년부터 대기질 개선을 위해 소규모 방지시설 교체 설치 지원 17개소 완료, 저녹스버너 교체 설치사업 15개소 완료, 노후 경유차 폐차는 2,865대를 실시하였으며, 도로청소차량 12대 신규 구입, 도시바람길 숲 조성사업 추진 등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윤창 서귀포시 녹색환경과장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대기환경 개선 효과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만큼 전국 최고의 미세먼지 저감시책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