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WE 호텔 제주(WE Hotel Jeju)는 환경부 환경경영지원사업에 참여하여 물, 에너지, 화학물질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환경보호 활동을 실천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WE 그린 스테이캠페인을 오는 91일부터 930일까지 진행한다.

 

연박 시그린카드사용으로 침구 교체를 하지 않는 친환경 실천에 동참해 주는 고객에게 친환경 기념품을 선물로 증정한다. 친환경 기념품으로는 폐린넨 재활용 기린인형, 폐린넨 재활용 앞치마, 폐비누 재활용 고체 방향제 이 3가지 아이템 중에서 랜덤으로 한가지를 제공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일상을 표현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등은 우리의 일상 생활이나 소비 패턴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으며, 배달 등의 언택트 소비의 영향으로 크게 늘어난 일회용품 사용으로 재활용 쓰레기 배출량이 전년대비 약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환경보호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환경 이슈는 의식 있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여행 문화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환경을 위해 불필요한 낭비는 줄이고 친환경 숙박을 일컫는 그린스테이를 위해 연박 시 그린카드를 사용해 침대시트를 교체하지 않는 것을 실천하고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며, 친환경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한 온라인 여행업체의 설문에 따르면 국내 여행객의 약 70%는 호캉스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호텔업계에 불어온 친환경 숙박 트렌드가 호텔을 고르는 새로운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WE 호텔은 그린 스테이 이외에도 1회용 빨대 대신 금속 재질의 다회용 빨대와 패브릭 재질의 다회용 코스터를 사용해 일회용품 퇴출에 힘쓰고 있으며, 지난 2017 10월 대한민국 기업으로써는 최초로 EU 환경경영감사제도 EMAS 인증을 획득한 친환경 경영 호텔이기도 하다.

 

또한 WE 호텔은 한국관광공사 주관 웰니스 관광 추천지로 2017~ 2020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제주관광공사 주관 제주 웰니스 관광 15선에도 지난 7월에 선정되어 단순한 먹거리, 볼거리 위위주의 관광을 벗어나 건강한 행복을 추구하는 웰니스 여행지임을 인정받았다.

 

호텔 관계자는 국내 최초의 헬스 리조트라는 컨셉트 아래 기존의 5성 등급 호텔 서비스와 헬스 케어 상품을 융합한 특화된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하고 있으며, WE 호텔만의 천연자원인 천연 화산 암반수와 한라산 중산간 청정지역의 상쾌한 숲 등 호텔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자연치유를 느낄 수 있는 국내를 대표하는 헬스 리조트로 최고의 휴식과 건강을 선사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064-730-1200 또는 홈페이지(www.wehotel.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