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9.3℃
  • 구름조금강릉 16.3℃
  • 맑음서울 19.9℃
  • 맑음대전 20.7℃
  • 맑음대구 19.8℃
  • 구름조금울산 17.9℃
  • 맑음광주 21.2℃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21.2℃
  • 구름많음제주 22.5℃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8.8℃
  • 맑음금산 20.7℃
  • 맑음강진군 21.9℃
  • 구름많음경주시 19.6℃
  • 맑음거제 19.0℃
기상청 제공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의 애민정신, 대천동장 강창용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마음에 새기며.

 


109일은 한글날이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제일 먼저 손꼽는 분이기도 한데 세종대왕을 존경하는 가장 큰 이유가 그의 애민정책에 있다고 하겠다. 애민[愛民]은 말 그대로 백성을 사랑한다는 뜻이다. 왕조시대의 왕은 모든 백성을 자식으로 생각하고, 부모로서 자식을 사랑하지 않은 사람이 없듯이 왕은 당연히 백성을 사랑해야 했다. 그러나 역사상 우리나라 왕들 중 제대로 애민정책을 실행한 왕은 많지 않고 그 중에도 세종대왕만한 왕이 없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 백성을 위함이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의 마음이 곧 하늘의 마음이다 하늘의 마음처럼 깊이 있는 마음으로. 소중한 마음으로 귀한 마음으로 성심을 다해 백성에게 다가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또 강조하였다.

 

세종대왕의 애민정책은 생명존중과 사회적 약자를 보호한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천민이라 하더라도 인재로 쓰는 인사정책에서 인간존중 사상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심지어 당시 여종이 출산하게 되면 원래는 일주일이 출산휴가였으나 세종대왕께서 100일을 혁신적으로 휴가를 주었다, 그것도 모자라 출산 전 30일을 더 추가로 주었으며 배우자인 남종에게까지 30일의 출산휴가를 주도록 하였다. 이처럼 일반백성은 물론이고 노비들의 어려움까지 살피고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한 지방수령의 관직을 받고 가는 이들에게 조심하여 근신하고, 백성을 다그쳐 성과를 내고자 하지도 말고, 형벌은 바르게 하고, 세금을 징수함에 있어서 각박하게 하지 말도록 당부하였다.

시대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대왕의 애민정책들은 오늘날 민주적이고 인권의 가치가 존중되는 시대에도 그 정신이 닿아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공무원으로서 세종대왕이 무엇을 실현하려 하였는지 그 정신을 마음에 새기고 계승하는 계기로 삼아보면 어떨지 생각해본다.

 

<대천동장 강창용>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보행신호 부대시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제주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와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사물인터넷(IoT)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률 96%를 달성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2017년 시각장애인 음향신호기에 IoT 기술을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도내 교차로 351개소에 설치된 1,581대 음향신호기에 이 시스템을 적용했다. 제주도 전체 음향신호기(1,635대)의 96%에 해당한다. 보행자 작동신호기도 도내 33개소 70대 중 60대에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각장애인 안전을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음향신호기 관리방식을 크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음향신호기 고장이 발생해도 시민 민원이 접수되기 전까지는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고장 발견부터 수리까지 평균 12시간이 소요됐으며, 그동안 시각장애인은 정확한 신호 정보를 받지 못해 보행에 불편을 겪었다. 특히 늦은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 고장은 다음 근무시간까지 수리가 지연되기도 했다. 사물인터넷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다. 음향신호기 상태를 24시간 원격으로 감지해 고장 발생 시 즉시 담당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자치경찰단은 2026년 상반기까지 도내 모든 음향신호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