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남준의 새 이야기

새들은 왜, 어디로, 어느정도 날아갈까?

삶을 위해 목숨 건 철새들의 이동…최고 멀리날아가는 흑꼬리도요

 
새들은 왜 이동 할까? 그리고 어디로 가는가?

정답은 번식하기 위해서 이동하며, 지구의 남반구와 북반구, 그리고 동서로 이동을 한다.

그러면 얼마나 먼 거리를 이동 할까?

이런 질문에 많은 학자들이 새의 이동 경로와 번식지, 월동지를 알아 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새들의 특성별로 큰날개를 가진 독수리와 같은 경우는 날개쭉지에 색깔이나 숫자의 표시를 매기도 하고 도요새들의 경우는 다리에 가락지를 채운다.

기러기류 같이 수면위에서 생활하는 새들은 목에 목걸이를 하듯 표시를 달기도 한다.

 
이런 표시는 무작정 하는 것이 아니라 색상과 부착하는 부위에 따라 각기 나라마다 다르게해 세계어디서든지 관찰할 경우 언제, 어디에서 가락지를 착용 했는지, 그리고 어디서 왔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요즘에는 전자기술이 발달해 비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위성추적 장치를 부착해 보내기도 한다.

 
이런 궁금증을 해소해 볼려고 새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기위해 뉴질랜드 매시대학교 연구팀이 흑꼬리도요 몸에 인공위성추적장치를 달아 날려보내는 시도를 했다.

지난해 8월 ‘E7’이라는 표시를 하고 출발한 작은 몸집의 암컷 흑꼬리도요가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까지 1만1,500km의 거리를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일주일 만에 비행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 흑꼬리도요는 지난해 3월 뉴질랜드를 출발한 이 새는 한 번도 쉬지 않고 북한의 압록강 근처까지 1만205km를 비행했고, 압록강 인근에서 몇 주 동안 휴식을 취한 흑꼬리 도요는 다시 알래스카까지 5,000km를 더 이동했다.

이 흑꼬리도요는 지난해 9월 다시 뉴질랜드로 돌아 왔는데, 추적 장치 분석 결과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까지 1만1,500km를 연속 날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행 중간 휴식을 취하는 다른 철새들과는 달리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먹지도 않으며, 일주일 동안 고도 2km를 유지한채 시속 56km로 속도로 태평양 상공을 계속 떠 날아갔다고 한다.

현재 알려진 새의 비행거리로는 최고다.

 
새들의 이동은 날개를 가진 새의 입장에서는 삶의 전부이기도하다.

먹이를 찾기 위해 날기도 하며, 위험으로부터 피신 하기위해, 또 번식을 위해서도 끊임없이 날아다닌다.

새들의 이동은 우리인간이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이동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흑꼬리도요와 같이 새들이 지구의 1/4이나 되는 먼거리를 왜 이동하며, 번식지와 월동지를 정확히 오가는지, 비행중 필요한 에너지는 어떻게 공급 받는지, 이모든 수수께기를 풀기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새들에게 물어본다고 대답해 줄 새들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알아내기 위해 인공위성추적장치를 이용하거나 새의 다리에 가락지를 채우든지, 날개에 표시를 한다든지, 목걸이 형태의 표시를 다는 방법으로 이동경로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고대의 사람들은 멀리 여행 할때는 나침반을 이용하거나 별자리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았는데 새들은 어떨까?

아직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야간에 이동하는 새들은 별자리를 이용한다는 설이 있으며, 지구의 자장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도 추측하고 있다.

지구는 북극과 남극으로 자석의 힘이 작용 하고 있는데, 극지방에는 0.7G(G:gauss 자장의 단위), 적도지방은 0.3G의 자장이 있으며 새들은 뇌의 일부분에 나침반과 같이 자장을 느낄수 있는 부분이 있어 이를 활용 하고 있다는 것이다.

 
먼 거리를 이동하는 새들은 간혹 이동하는 비행중에 힘이 부쳐 추락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흑꼬리도요도 뉴질랜드나 앨라스카를 출발 할때는 평균 몸무게는 300-400g 정도이나 도착할 때쯤은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피 눈물 나는 고단한 비행일 것이다.

지금 도요들은 서해안 갯벌에서 영양분을 보충하고 제주를 경로로하여 남쪽으로 내려가고 있다.

내년 봄 무사히 다시 돌아오기를 기대해 본다.

 
흑꼬리도요는

몸길이 약 36-41cm이다.

부리가 굽고 키가 큰 도요새이며 몸무게는 300-400g이다.

노란빛을 띠는 분홍색 부리는 끝이 검고, 길다.

꼬리 끝이 검은 것이 특징이며 갯벌이나 논에서 작은 무척추동물을 잡아 먹으며, 간혹 씨앗을 먹기도 한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