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오순(五旬)을 바라보고 있는 한국민속예술축제

 
제49회 한국민속예술축제가 10월 4일부터 5일까지 2일간의 일정으로 대한민국 최남단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열린다. 축제에는 전국 3만여 문화예술인들이 모일 예정이다.

혹자들은 서귀포시에서 펼쳐지는 이번 한국민속예술축제가 단지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만의 잔치가 아니냐면서 전혀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문화예술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참으로 안타깝다. 예전 제주에서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려면 탐라문화제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해야만 그 자격을 얻었다. 축제에 참가하는 날이면 그 지역 주민들에게는 경사로 여겨지곤 했다.

지금은 어떤가? 대한민국 최고의 민속예술축제가 개최되고 있는 서귀포시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냉정히 생각해 봐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서두에서 얘기했듯이 전국 3만여 문화예술인들이 참가하는 한국민속예술축제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행사임은 분명하다. 문화관광체육부·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가 주최하고 2008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하는 전국 규모의 축제로서 문화예술행사로는 명실 공히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지칭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번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팀과 이북 5도 성인팀들이 각 지역 대표로 지역의 전통 문화예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전국 청소년들의 문화마당 큰잔치인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가 이틀 앞서 개최 되고 있어 그 동안 전국의 전통 민속예술을 접할 기회가 부족했던 청소년들에게도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서귀포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미흡하다면 그 지역 문화예술의 한계를 보여 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행사에서 우리는 많은걸 배우고 얻을 수 있는 기회를 하늘에 별을 보는 듯 손꼽아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지만 , 더 많은 시민의 관심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서귀포시는 옛 선인과 문인들이 거쳐 간 문화예술이 살아 숨쉬는 곳이 아니었던가? 최근 우리 지역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침체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 또한 서귀포시 문화예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회는 자주 오는 법이 아니다. 우리 16만 서귀포 시민의 단합된 힘을 전국 방방곡곡에 보여 줄 때다.

한국예총 서귀포지부장 이연심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기동대, 첫 공식 활동 돌입
서귀포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등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구성된 자율방재단 기동대가 지난 6월에 발대식을 마치고, 7월 6일 첫 공식 활동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활동은 폭염특보가 발효된 동부지역(성산·표선)을 중심으로 드론 4대와 기동대원 20여 명이 투입되어 야외 농작업장과 밭작물 재배지 등 폭염 취약지역에 대한 집중 예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민과 관광객의 건강 보호를 위해 무더위쉼터의 냉방기 가동 상태 점검과 폭염 행동요령 홍보도 병행하여, 무더위쉼터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도모하였다. 올해 처음으로 운영되는 서귀포시 자율방재단 기동대는 동부·중부·서부 권역별 15명씩 총 4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드론·무선통신 등 전문자격 보유자와 방재단 활동 우수자를 중심으로 선발되었다. 기동대는 재난 발생 시 권역별 초동조치 및 신속대응, 응급복구, 그리고 과학기술 기반의 재난 예찰 및 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서귀포시는 지난 6. 30. 폭염특보가 제주도 전지역(산지, 추자도 제외)으로 확대됨에 따라 폭염 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중에 있으며, 폭염저감시설 운영‧독거노인 등 폭염취약계층 안전관리‧ 농수축산업 피해예방을 위한 현장점검반 운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