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노인일자리 사업을 마무리하며

 

노인일자리 사업을 마무리하며

 

 


이도2동주민센터 이  은  주

 

  

2011년 3월 8일부터 시작한 공익형 노인일자리 사업이 지난 10월 말을 끝으로 마무리 되었다. 노인일자리 사업이 마무리 되던 날, 일자리에 참여하시는 한 어르신이 무거운 발걸음을 돌리시며 “여직원, 일자리가 끝나난 막 서운하우다. 앞으로 뭐 먹고 살는지…, 혹시 추가로 더 할 일 있으면 꼭 연락 줍써예~”하시며 아쉬운 여운을 남기셨다

 

  노인일자리 사업을 담당한지 어느덧 2년째, 2010년에는 34명, 2011년에는 47명이 이도2동 노인일자리 환경지킴이 사업에 참여하였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아파서 중도 포기 하신 분, 손자들을 돌봐야한다고 중도 포기 하신분 등 개인사정으로 인하여 중도 포기 하시는 분들이 있으셨는데 어르신 모두 하나같이 생계를 어떻게 꾸려나가실지 속상해하셨지만 본인들의 현실을 받아드리실 수밖에 없었다.

 

  올해 8월에는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어르신들은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시는 주된 동기로 생활비(생계) 마련을 위해 참여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셨고, 근무환경․근무시간 등은 대부분 만족하셨지만 현재 받고 있는 월 보수에 대해서는 불만족을 표시하셨다.

 
  주4회, 월 3시간을 근무하여 월 20만원을 받고 있으신데, 근무시간을 늘려서라도 월 보수액이
최소 30만원, 최대 50만원까지 됐으면 하는 바람을 적으셨다.

 

  우리동 노인일자리 만족도 조사 결과만 봐도 노인일자리 사업이 어르신들에게 경제적․육체적․정신적으로 여러모로 많은 효과를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어르신들이 생계가 곤란하여 월 보수가 늘고, 사업기간 또한 길었으면 하는 바람을 말씀하셨다.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로서 노인 일자리 사업이 많은 어르신들께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조금이나마 윤택한 삶을 지낼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은 일자리 만족도 조사와 일자리 사업 신청을 받을 때만 봐도 알 수 있었기에 우리네 어르신들이 경제적으로 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아동안전보호, 문화재해설지킴이, 숲 생태 해설 등 다양한 노인일자리 창출이 필요하고, 일자리 근무 시간을 좀 더 늘려서라도 어르신들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시, 고수온 예비특보 발효 따른 현장대응반 본격 가동
서귀포시는 2025. 7. 3.자로 제주 해역 전역에 고수온 예비특보가 발효(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발표)됨에 따라 현장대응반을 본격 가동하고 양식장 고수온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현장대응반은 서귀포시 고수온 대응계획에 따라 구성되어 ▲고수온 피해신고 접수 ▲현황집계 ▲피해현장 조사 ▲복구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양식 어가에서는 고수온 피해 발생 시 해당 읍면동으로 신고해야 하며 현장대응반에서는 유관기관(도 해양수산연구원, 국립수산과학원) 합동으로 피해 원인 현장 조사를 실시 하여 자연 재난지원금, 재해보험 지급 등 신속한 피해복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현장 예찰 활동을 통해 고수온 대응 홍보와 어업인과의 소통을 강화 하고, 태풍, 폭우 등 재해예방을 위한 양식장 하우스 결박 상태, 비상발전기 작동 여부 등도 수시 점검할 방침이다. 기상청 기상 전망에 따르면 올여름 우리 바다의 수온은 평년(과거 30년 평균)대비 1℃ 내외 높고 고수온 특보도 45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고수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과밀 사육을 지양하고 고수온 시 사료 급이 중단 및 액화 산소 비축을 해야 하며, 피해 발생 시 증빙을 위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