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성장과 소득이 더딘 이유
제주지역 성장과 소득이 더딘 이유
제주는 신이 내린 보물섬이다. 제주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유산과 빼어난 자연유산을 가지고 있고 세계유수의 국제회의와 스포츠 대회가 개최되고 연간 50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다녀가는 곳이다. 그만큼 제주도는 브랜드 가치가 크며 돈벌이가 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이처럼 천혜의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돈이 좀처럼 돌지 않는 것 같다.통계청이 지난 24일 발표한 '2006년 지역내총생산 및 지출추계'를 보면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성장률은 평균 5.1%이나 제주도는 전국 최하위(1.8%)에 머물렀고 1인당 GRDP도 1만4,631달러에 불과해 4만달러를 넘은 울산에 비해 3배 가까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우리도의 산업구조를 보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너무 취약하고 외부 의존형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개방화시대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제조업형 구조가 필요한데 정작 2차산업은 3.1%(전국 28.6%)인 반면 개방화에 취약한 1차산업은 13.9%(전국 3.5%)에 달하는 역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외부 의존형인 3차산업은 무려 83%(전국 68.3%)로 이러한 구조에서는 성장, 소득, 미래 경쟁력을 기대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