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와이드포토

 
우리나라에서 천연기념물 199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는 황새가 7개월만에 다시 제주를 찾았다.

황새는 28일 오전 본사 통신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조류사진가 지남준 통신원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지 통신원은 이날 오전 조류 탐조를 다니던 중 해안가 갯바위에 앉아 있던 황새를 발견했으며 이내 무언가에 놀라 날아갔다고 당시상황을 설명했다.

 
김완병 제주특별자치도민속자연사박물관 연구사는 "이번에 제주를 찾은 황새는 이동시기가 아닌점을 들어 육지부의 추운 날씨에 상대적으로 포근한 제주로 내려왔을 가능성이 크다"며 "또한 육지부의 월동 환경이 안좋아 제주로 내려왔을 수 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김 연구사는 "황새가 주로 한반도와 일본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 점과 황새의 이동시기가 아닌점을 들어 제주와 우리나라의 월동지 환경이 안 좋아 방황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황새는 지난2005년11월 15일 제주를 찾아 지난해 6월 제주를 떠났으며 이 황새가 초여름까지 제주에서 있었던 것은 기후에 적응과 어린새, 또는 먹이 부족으로 기력이 부족했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와 충청북도 부근에서 8·15광복 전까지 흔히 번식하던 텃새였으며 예로부터 길조로 여겨져 왔다.

또한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았다으나 6·25전쟁과 1960년을 전후해서 밀렵 등으로 모두 희생됐고, 마지막 번식지였던 충청북도 음성의 1쌍마저도 1971년 4월 밀렵으로 수컷이 사살된 이래 암컷 홀로 무정란만 낳은 채 번식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생명의 길' 제주 바다까지...전국 최초 해양경찰 우선신호 확대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과 관광객의 생명을 구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해양경찰 긴급차량까지 확대 적용한다. 이로써 해상사고 발생 시 바다에서 육지까지 끊김 없는 골든 타임 확보 체계가 완성된다. 제주도는 20일 오전 도청 백록홀에서 제주지방해양경찰청과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확대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박상춘 제주지방해양경찰청장, 오충익 자치경찰단장 등 협약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과 기후변화로 인한 어선·연안 사고 등 해양사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기존 소방차량 중심의 육상 구조체계에 해양경찰 긴급차량을 추가해 해상에서 육상까지 연계된 통합 구조체계를 완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해상사고 발생 시 해양경찰이 항구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교통체증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해 인명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은 긴급차량이 접근하면 전방 5개 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해 교차로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2020년 13개 교차로에 시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