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남반구의 작은나라, 뉴질랜드서 배우자!

 
몇 년 전 새로운 소득작물로 골드키위를 도입하고자 남반구에 있는 뉴질랜드라는 작은 나라를 방문한 적이 있는 데, 그곳 관계자로부터 “뉴질랜드에서는 농민이 백만장자이고, 도시에는 빈민이 모여 산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이 말을 자신 있게 할 수 있는 것은 자신들만의 자랑인 키위(참다래)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전 세계 키위재배 면적의 10%, 키위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나라가 바로 뉴질랜드인 것이다.
뉴질랜드에서는 키위를 농업의 핵심 기간산업으로 여기고 있었다.

흔히, 우리는 감귤을 제주의 생명산업이라고들 이야기 하는 데 그들에게 있어서 키위가 어쩌면 뉴질랜드의 생명산업이라 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뉴질랜드 키위재배 농업인들은 100% 키위 한 가지만 재배하기 때문에 키위산업이 조금이라도 악영향을 받게 되면 농업전반에 걸쳐 커다란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요즘, 제주는 연일 하락하고 있는 감귤가격 때문에 행정 공무원은 물론 농·감협 직원, 도민, 생산자 어느 누구 할 것 없이 모두 불안해하고 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모두 알고 있지만 실천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모두들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든 문제는 우리에게, 나 자신에게 있다는 생각으로 기존의 생각과 의식을 버리지 못한다면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은 앞으로도 몇 년을 두고 반복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뉴질랜드의 농업인들의 의식을 벤치마킹 해봄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뉴질랜드 농업의 기간산업인 키위산업도 우리 제주가 겪고 있는 감귤산업의 어려움과 같은 어려움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70년대까지 뉴질랜드 키위재배 농업인들은 키위 열매뿐만 아니라 묘목까지도 유럽과 아시아로 수출하여 매우 호황을 누렸었다.
하지만 묘목을 수출한 지 3~4년이 지난 후 그동안 묘목과 열매를 수입하던 나라에서 자체적으로 키위를 생산하게 되면서 뉴질랜드 키위재배 농업인들은 정부의 융자금도 못 갚을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가 찾아왔을 때 뉴질랜드 키위재배 농업인 80%가 모여 영농조합을 구성하고 국가에서 운영하는 원예연구소에 키위 신품종 개발비로 연간 35억원을 15년간 부담한 결과 새로운 품종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으며, 새로 개발한 신품종은 국제특허를 받았고, 묘목을 다른 나라에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농업인들이 주주(株主)가 된 영농조합의 자회사격인 “유통전담회사"를 설립하여 마케팅을 전담하게 하고, 유통전담회사의 기술지도 아래 생산과 판매를 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뉴질랜드 키위는 세계 7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키위재배 농업인들은 안정적인 소득을 올리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뉴질랜드만의 모습이 아니라 제주에도 있다.
2004년부터 제주에서도 뉴질랜드의 키위(참다래) 신품종을 까다로운 계약 조건을 수용, 도입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수확을 시작하여 유통 및 출하는 마케팅 회사가 책임지고 있어 농가는 판매에 신경을 안 써도 되는 뉴질랜드의 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뉴질랜드 키위 선과장에는 생산자가 절대 들어갈 수 없다.
생산자는 생산만 하고, 운송·선별·포장·마케팅(판매)는 마케팅 회사인 '유통 전담회사'가 전담하고 있으며, 수확시기가 되면 사전에 포장을 방문하여 품질을 조사하고 수확시기도 마케팅 회사가 정해 준 기간에만 수확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생소하고 이해할 수 없는 새로운 유통 시스템이 세계화, 개방화 속의 혹독한 현실 속에서도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영농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보듯이 행정적 지원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감귤 생산자와 도민의 의식 전환이 무엇보다도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과거 속에 묻혀 있는 농업이 되어서는 자멸(自滅)이라는 늪에 빠지게 되는 우(愚)를 범하게 될 것이다.

지금은 우리 모두 지혜를 한데 모아야 할 때이다.
현재 감귤산업의 구조적 문제는 누구의 탓만으로 돌려 해결 될 사안이 아니다.
뉴질랜드 키위재배 농업인들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았듯이 우리 모두 머리를 맞대고 노력한다면 현재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단, 표선면 일대 교통안전 캠페인 전개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은 22일 오전 8시 서귀포시 표선면 일대(표선초·중·고등학교)에서 교통문화지수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다. 이번 캠페인은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 표선면사무소, 표선파출소, 표선초중학교 교직원 및 학부모회, 표선면 자생단체(주민자치위원회·이장단·자율방재단·새마을부녀회), 시니어클럽 등 민간치안협력단체 50여명이 참여했다. 표선초·중·고등학교 등교시간대인 오전 8시부터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안전수칙을 안내하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리플릿도 배부했다. 특히 자치경찰단 서귀포지역경찰대는 올해 3월부터 서귀포경찰서와 긴밀히 협력해 서귀포시내 주요 도로와 교차로를 중심으로 음주운전 단속을 집중적으로 시행해 왔다. 5월부터는 표선면 등 시외지역으로 단속 범위를 확대해 농촌·관광지·외곽도로 등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고 있다. 외곽지역에서의 음주운전은 단속 회피 심리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선제 대응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표선지역의 인구 유입 증가와 함께 IB 학교인 표선초·중·고등학교 학생 수(1,500여명)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해당 지역의 통학로 교통안전 확보 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