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서귀포칠십리’ 천지연의 봄!

‘서귀포칠십리’ 천지연의 봄!

 
지금으로부터 25년 전‘82년 서귀포시가 승격되던 이듬해 제주에서 처음 찾은 곳은 지금의 서귀포시의 정방동 쯤으로 생각난다. 한국의 제주가 낳은 서예인 소암 현중화 선생을 찾아간 것이다. 대문에 그 이름도 찬란한 玄中和 문패 모습이 생생하다.

선생의 안방이자 서실에서 한시간 남짓 님을 뵙고 난 뒤 마루의 발코니에서 바라본 서귀포 앞바다의 모습은 그야말로 남녘 섬나라의 아름다움의 극치였다. 바로 그런 풍광을 두고 환상이니 낙원이니 하는 표현을 쓰지 않을까. 소암선생을 뵈러간 것이 결국 서귀포칠십리란 환상에 그만 푹 빠지고 만 것이다.

그 이듬해‘83년도 그 아름다운 서귀포를 다시 찾았을 땐 여름밤 정모시(정방폭포)에서부터 천지연을 걸었다. 천지연 입구의 수은등 불빛아래 엄지손가락만한 수만 마리도 넘는 왕매미가 거리에 쫙 깔린 모습도 보았다. 육지에서는 애기손가락 만한 작은 매미 한마리 보기도 힘든데 그렇게 큰 왕매미가 나무며 거리에 나붙어 있으니 행여 한 마리라도 발에 밟힐까 조심조심 걸었다. 그 또한 제주가 곤충의 천국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낙원 제주에 반해 정착하여 살기를 만 25년이 되어가는 지천명(50세)이 되어서야 제주시에서 버스를 타고 다시 그 곳을 찾게 된 것이다. 소암선생 생가 앞 해안도로를 따라 천지연까지 걸었다.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으리만큼 전망 좋은 잘 꾸며진 해안도로변 횟집들이 전망을 가리기도 했지만 관광제주가 그 정도는 되어야지, 내심 발전된 아름다운 서귀포의 모습이구나 생각하고 서귀포칠십리 노래를 흥얼거리며 천지연폭포로 향했다.

누군가 천지연을 선계(仙界)로 비유하며 황홀경이라 표현했던가! 신이 선사한 신천지 신비한 세계를 선계라 한다면 가히 천지연의 봄밤의 풍경이 그런 곳이라는 생각을 했다. 천지연 입구에서부터 교각도 새롭게 단장되어 가로등 하나도 미적 감각을 살려 변화시켰다. 천지연을 거닐제 밤에 핀 하얀 목련꽃이 있고 담팔수 등 활엽수의 난대림 오솔길을 지나 밤의 불빛사이로 떨어지는 폭포수야말로 더 이상의“환상적 아름다움”이니“황홀경”이란 표현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적어도 제주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사람은 이곳을 가보라. 아니 꼭 천지연뿐일까. 우리가 제주에 살면서 그 정도의 아름다움도 모르면서 제주인이라고 할 수 있단 말이더냐. 굳이 제주특별자치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기필코 등록을 해야 하는 당위성이 아니어도 좋다. 대부분 허니문의 명소가 즐비한 서귀포 해안경관이 일부 호텔울타리로 진입이 제한된 곳이 있지만 요즈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내걸고 있는‘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최남단도시’를 표방하며 날로 아름다움을 더해가는 모습에 더없이 자랑스럽고 제주 산남지역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찬사를 보낸다.

이제는 송산동의 구 서귀포시청사가 옮겨가고 인근에 이중섭 문화거리와 연계하여 소암선생 기념관이 설립될 예정이며, 천지연 언덕위 전망을 가리는 일부 호텔건물도 철거되고 아름다운 서귀포칠십리로 거듭나고 있음은 그만큼 제주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에 삶의 질이 나아지고 행복지수를 높여 가리라는 데에 더 이상 이의가 없다.

우리가 제주에 살면서 국제자유도시 제주특별자치도 공직자라면 도보일주를 해서라도 우리땅 제주를 아는 것이 우선 돼야 한다. 나를 알고 제주를 아는 것도 제주의 새바람‘뉴제주운동’이려니, 제주의 왕벚꽃과 유채꽃길이 있는 이봄, 전 공직자가 아름다운제주 서귀포칠십리를 노래 부르며 도보일주 완주를 체험하는 운동이 하루빨리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가축방역담당 이 성 래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자치경찰·국가경찰, 대륜동 현장소통으로‘치안현안 공유’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박영부)는 8월 13일(수) 17시 30분,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센터 3층 회의실에서‘2025년도 제3차 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을 개최했다. 이번 현장소통의 날에는 대륜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해 제주자치경찰위원회, 제주경찰청, 제주자치경찰단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치안정책 설명 ▲주민 건의사항 청취 ▲현장 피드백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서귀포경찰서는 ▲공동체 협업을 통한 외국인 범죄 예방 ▲청소년 선도·보호 활동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합동 단속·홍보 추진 등 올해 주요 시책을 소개했다. 제주자치경찰단은 ▲서귀포시니어클럽과의 합동 치안활동 ▲주민봉사대와의 협력 방범활동 등 지역 맞춤형 치안활동을 설명했다. 현장에서 제기된 교통·범죄예방 관련 건의사항은 즉시 소관 부서가 개선 방안을 안내하고, 향후 지속 관리하기로 했다. 박영부 위원장은“주민과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며 치안정책을 설명하고, 건의사항을 즉시 반영하는 것이‘찾아가는 현장소통의 날’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앞으로도 주민과 함께 만드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위해 현장행정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