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40만 톤 미만

  • 등록 2025.09.09 09:09:42
크게보기

올해 제주 감귤 생산예상량은 관측조사 이래 가장 적은 수준으로 전년 대비 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지만, 기상 여건이 좋아 품질은 오히려 향상될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김철수)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2025년 노지감귤 착과상황 관측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올해 제주지역 전체 생산예상량은 395,700톤 내외(379,700~411,700)로 전년 동기 관측량인 408,300톤보다 12,600(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지난해는 이상기상으로 인한 열과 발생 등으로 최종 생산량이 37만 톤에 그쳤다.

 

생산예상량은 현재 재배면적 13,994중 성목이식, 품종갱신, 고접 갱신, 간벌 등 비생산 면적을 제외한 13,493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나무 한 그루당 평균 열매 수는 800개로 지난해(878)보다 78, 최근 5년 평균(832)보다 32개 적었다.

제주시는 512개로 전·평년 대비 각각 532, 268개 적었고, 서귀포시는 861개로 전년보다 71개 많았지만, 평년보다는 49개 적었다.

 

지역과 나무별 착과량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열매 크기(횡경)는 제주시가 45.6로 전년보다 2.4, 평년보다 1.6컸다.

 

서귀포시는 43.6로 전년보다 0.1컸으나, 평년보다는 0.6작았다.

 

 

품질조사 결과 당도는 7.4브릭스로 전년에 비해 0.1브릭스, 5년 평균에 비해 0.5브릭스 높았으며 산 함량은 2.91%로 전년에 비해 0.19%p, 5년 평균보다 0.43%p 낮았다.

 

이는 과실 비대기에 강수량이 적고 평균기온은 높았으며 일조 조건이 양호해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농업기술원은 11월 중 3차 관측조사를 통해 품질과 결점과율 등을 확인한 뒤, 최종 생산예상량을 행정 부서에 전달할 방침이다.

 

 

김동현 농업관측팀장은 올해는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품질 향상으로 소비자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다앞으로도 기상 변수에 따른 생육 변화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관측의 정확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고창일 기자 issuejeju@issuejeju.com
Copyright @ 2010 ISSUEJEJU.co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