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굴이구신 屈以求伸
벌레가 몸을 구부리는 것은 더 많이 뻗어나가기 위함이다
성산읍사무소 홍윤수 주무관
제주에도 따스한 봄이 왔다.
올해부터 감귤 고품질안정생산시책은 그동안 관주도 방식에서 벗어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 “ 팔길이 원칙 ”에 따라 농ㆍ감협이 시행주체가 되어 생산자단체 중심의 감귤재배 농가 자율실천사업으로 전화하여 추진되고 있다 .
금년도는 감귤생산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이며 이대로 간다면 노지감귤 가격은 전년도에 비해 낮은 가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감귤나무 특성상 매년 반복되는 현상이지만 이제는 농가 스스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노지감귤 적정생산 시책으로 감귤원 1/2간벌사업에 이어 감귤원 휴식년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휴식년제란 금년처럼 감귤이 많이 달릴 것으로 예상되는 해의 5월 ~ 7월에 감귤나무에 달려있는 감귤열매를 모두 따버리고 여름숨을 발생시켜서 이듬해 감귤이 적게 달리는 해에 상품 규격이 열매를 많이 달리게 해 소득을 올릴 수 있게 하는 격년 결실재배 방법이다.
이는 과잉생산된 해인 2007년 및 2009년도에 노지감귤이 kg당 1,000원이하의 가격을 형성되였으나 2008년 노지감귤이 적정생산된 해에는 kg당 1,272원을 기록하며 2007년산보다 79%, 2009년산보다 34% 높은 수익을 기록했던 것을 고려하면 농가에서는 과잉생산년도 감귤출하 시 적은 수익에 대비 병해충방제 및 시비작업비 등 과원관리비 지출로 인해 실질소득이 적은 해에는 감귤을 출하하지 않고 실질소득이 높아지는 적정생산 년도에 상품의 규격의 고른 열매를 많이 달리게 해 농가소득을 높일수 있는 재배 방법인 것이다.
구분 |
2007 |
2008 |
2009 |
생산량(천톤) |
678 |
520 |
655 |
조수익(억원) |
2,515 |
4,155 |
3,535 |
원/kg |
710 |
1,272 |
949 |
결국 멀리뻗기위해 몸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2009년산 감귤유통처리 실태분석13쪽-(사)제주감귤연합회 편저 )
결국 휴식년제를 통한 생상량 조절은 과잉생산년도에 물량을 줄이고 적정생산년도에 감귤을 출하하여 농가소득을 증가시키는 농가의 선택이기 이전에 필수인 것이다.
금년도 1/2간벌은 서귀포시 계획 690ha중 실적이 817ha로, 계획대비 실적이 118%로 초과달성 되며 고품질안정생산시책의 첫단추는 잘 꿰어졌다.
이제부터는 휴식년제의 적극적인 참여로 농가스스로의 역량을 보여줄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