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섬속의 섬 우도 나이는 '7만살'

세계유산본부 새 기법으로 밝혀

섬속의 섬 우도의 나이는 7만년이라는 분석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창조)섬 속의 섬우도가 지금으로부터 약 7만 년 전 형성되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얻었다.



기존 연구에서 우도는 86000 년 전에서 102천 년 전 사이 기간 혹은 또 다른 연구에서는 114000년 전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우도는 섬 남쪽은 높은 지형을, 북쪽은 완만한 대지를 이루고 있다.

 

이는 우도의 화산분출 양상과 관계가 있다. 우도는 형성 초기에 바닷물과 마그마가 만나 격렬히 폭발하면서 화산재를 쌓아, 비교적 높고 경사진 응회구라는 수성화산체를 형성하였다.

 

우도 남쪽에 높은 지형과 절벽에 드러난 경사진 화산재층이 이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이후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화산활동 소강상태를 거쳐, 새롭게 용암이 분출하여 우도북쪽에 넓게 분포하는 용암 대지가 형성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초기에 분출한 용암과 후기에 분출한 용암에 대해 각각 Ar-Ar연대측정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이다.

 

이번에 새롭게 얻어진 연대결과는 초기 화산활동과 후기 화산활동 사이의 화산활동 소강기에 퇴적된 퇴적물에 대한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으로 얻어진 결과이다. 특히 연대결과는 우도 돌칸이 해안과 검멀레 해안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얻어진 연대로, 그 신뢰도가 높게 평가된다.

 

세계유산본부에서는 2015년부터 제주 자연자원 중 하나인 오름의 형성시기를 밝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세계유산인 거문오름, 일출봉을 비롯하여 제주의 곶자왈을 형성한 오름의 분출시기를 새롭게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에는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용암돔과 백록담의 형성시기와 형성과정을 규명하기도 하였다.

 

김창조 세계유산본부장은 제주에는 360여개의 오름들이 분포하는데 우리는 지금까지 10여 개의 오름 생성연대만을 알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본부에서는 앞으로도 오름의 생성시기와 형성과정, 그 지질학적 특징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 추진하여, 세계자연유산생물권보전지역세계지질공원의 명성에 걸맞는 자연자원컨텐츠들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서귀포보건소,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 맞아 합동캠페인
서귀포보건소에서는 제39회 세계 마약퇴치의 날을 기념(매년 6월 26일)하여 6월 28일(토) 오후 2시부터 서귀포시 일호광장 일대에서‘불법 마약류 퇴치 및 오남용 예방’을 위한 합동 캠페인을 펼쳤다. 이번 캠페인은 제주도약사회서귀포시지부와 서귀포 3개 보건소 25여 명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사회 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마약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현장에서는 ▲마약류 중독 예방관련 O,X 퀴즈 ▲마약류 관련 설문조사 ▲피켓 등을 활용하여 캠페인이 진행되었으며, 이후 올레시장까지 이동하며 거기 캠페인도 이어나갔다. 특히 올레시장 내에서는 불법 마약류 퇴치와 함께 ‘민생경제 살리기’홍보도 동시에 실시하여 시민들과 상인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 6. 23.(월)부터 6. 27.(금)까지 5일간 약사회와 협업하여 서귀포시 청사 내에 ‘마약의 위험성 경고’ 및 ‘불법마약류 퇴치’를 주제로 한 포스터를 전시, 청사 방문객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다. 현승호 서귀포보건소장은 “이번 행사는 약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시민들에게 마약류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