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3차년 한라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 착수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창조)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되고 있는 한라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 3차년도 착수보고회를 514일 월요일 오후 430분에 한라수목원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

 

연구용역은 1980년 중반부터 한라산 방목금지, 환경변화 등으로 제주조릿대가 급속한 확산과 생장이 커지므로 인하여 생물자원 종 다양성이 감소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한라산 생물종 다양성 유지를 위한 적정 관리 방법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차년인 2017년에는 한라산국립공원 북사면지역 102.9495.5%(98.38)가 분포하고 있고 제주조릿대 벌채 및 말방목을 함에 따라 밀도는 992/에서 577/42%감소, 크기는 47.5에서 15.548%가 감소된 반면 주변 출현식물 37종에서 48종으로 27%가 증가되었고 제주조릿대의 의해 피압되었던 산철쭉이나 털진달래 등 관목류 생육이 회복되고 있다고 보고한 바가 있다.

 

올해에도 예산 4억 원을 들여 한라산 1,400m 이하 북쪽지역 약 160대상으로 제주조릿대 분포 면적산출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도면화가 수행되고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중 말방목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말 9마리를 지원받아 만세동산 일대(해발 1,600m)에서 1ha를 대상으로 3개월간 말방목 실험이 진행된다.

 

제주조릿대 벌채연구는 2017년과 같이 한라산 관목군락지인 장구(1.8ha), 선작지왓(0.5ha), 만세동산(0.5ha), 진달래밭(0.1ha)를 대상으로 전면베기와 둘레베기 대한 연구가 이루어 질 뿐만이 아니라 제주조릿대 벌채에 따른 환경요인 변화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과학적 근거 데이터 확보를 위해 국립생태원, 생태연구소 풀잎과 공동으로 제주조릿대 군락내 물질순환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제주조릿대 군락 토양 내 잠재되어 있는 식생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다.

 

김창조 세계유산본부장은 한라산 제주조릿대의 문제는 도민들이 매우 높은 관심을 갖는 사항임으로 도민들의 의견수렴을 통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향후 제주조릿대 연구현장에서 도민 및 탐방객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상황 설명과 의견수렴을 위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도민들과 함께 한라산 종 보존이 필요한 특수지역 등 대해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와이드포토

더보기


사건/사고/판결

더보기
상하수도본부,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 실시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4일 보목하수처리장 현장에서 직원과 대행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밀폐공간 안전교육 및 사고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밀폐공간 내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 고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고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육에서는 안전보건 전문가가 산소 결핍과 황화수소 등 유해가스 발생 원인과 실제 사고 사례를 소개하고, 작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산소·유해가스 측정 및 환기 절차 등 안전수칙을 설명했다. 이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상황을 가정한 대응 훈련이 진행됐다. 훈련에서는 근로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돼 의식을 잃는 상황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즉시 비상신고와 작업장 통제 절차를 수행했다. 구조조는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현장에 투입돼 근로자를 구조하고, 심폐소생술(CPR)과 응급처치를 거쳐 119구급대에 인계하는 전 과정을 실습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중요성과 골든타임 내 신속한 구조 활동의 필요성을 체험했으며, 실제 상황에서도 혼란 없이 대응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소방서 등 유관기관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