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0년대에서 80년대 시절에는 주로 선박으로 제주를 오갈 때 공항보다 제주항 여객선터미날의 한복 입은 신혼부부 모습이 유난히 많아 정겹고 제주적인 아름다움만으로도 얼른 신혼여행지로 전국 최고였다는 것이 이미 인정을 받아 왔다.
당시 제주의 관문인 산지천 복개지의 잘 정리된 상가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던 기억도 생생한데 어느덧 아름다운 산지천 포구로 탈바꿈 되어 맑은 지하 용출수로 채워져 제주가 물이 좋고 그 수량도 무제한으로 풍부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서울의 청계천과 4대강(실개천) 살리기 사업의 모델케이스가 되었다는 일화에 오현단과 삼성혈이 있는 남수각 언덕 명당(복음)자리 주택에 살고 있는 필자의 마음이 여히 자랑스러울 뿐이다.
10여년 전 국제자유도시 선도 프로젝트 사업이 계획되고 최근에 첨단과학단지 등 하나둘 완성되어가는 것을 보면 차근차근 국제화 도시로 변모해 가는 모습에 이 땅에 살고 있는 제주인으로써 또 다른 자부심이 가득하다.
서귀포칠십리 이중섭 미술관과 소암선생 기념관에서 내다보이는 서귀포 관광미항에 새로이 들어선 새섬 연육교가 완공 되자마자 또 하나의 환상의 멋을 연출하고 있다. 또한 문섬과 범섬이 보이는 민·군 복합형 관광미항이 건설되고, 제주시 제주항에도 절도봉 앞 화북동으로 이어지는 방파제를 겸한 바다위의 제주항 연결도로가 완공·개통이 되어서 크루즈함선이 오가는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항구처럼 우람하고 고품격의 국제도시의 전형을 그려본다.
중앙아시아 몽골 드넓은 황야의 때 묻지 않는 곳에 결핵병 등을 치유하는 요양소가 있듯이 현대사회에서는 적어도 인류의 난치병도 치유하는 의료휴양지를 꿈꾼다면 당연히 제주에는 투자개방형 병원이 있어야 한다.
또한 한라산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케이블카의 효용성과 벌어들일 수 있는 대박의 경제적 가치를 생각하면 세계자연유산 제주에서 제발 우리라고 왜 못한단 말인가.
제주 지방정부의 공직자도 도지사도 다 제주에서 나고 자란 제주인의 아들딸이다. 김만덕의 숭고한 얼이 있고 수눌음의 미덕이 있는 제주에서 공익적인 제주발전을 위해 제주인 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잠 못 이루고 고뇌하는 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찬사를 보내지 못해도 좋다. 돈벌이가 되는 일이라면 ‘몬딱’ 제동을 거는 자, 그는 과연 제주인이 아닌가 말이다. 역지사지로 반대 논리로만 접근하는 자 그대의 건설적인 대안 제시가 한없이 아쉽다.
제주의 인적이 미치지 않는 그야말로 원시림과 어우러지는 ‘환상숲길’과 ‘올레길’을 살려감으로써 연간 한 천만명 정도가 제주를 찾을 수 있도록, 아니 살아있을 적에 꼭 한번 가보고 싶은, 한번 와봤던 사람은 다시 한번 꼭 찾아보고 싶은 제주가 실현 되도록 하자.
한그리고 제주정부가 역점 추진하는 프로젝트 사업만큼은 진정 사심이 없이 동의하고 칭찬하며 박수를 보내는 기법을 터득하자. 그것만이 특별함이 넘쳐나는 평화의 섬 탐라낙원을 건설하는 초석이 되는 이유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가축방역담당사무관 이성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