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관의 외래어 남용

  • 등록 2009.10.09 17:24:49
크게보기

 
한글의 우수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우리 공공기관들은 요즘 앞 다퉈 기관의 이름을 외래어로 바꾸고 있다. 2007년 9월 전국의 동사무소의 명칭이 동주민센터로 바뀌었다. 당시 이에 대해 찬성하는 측은 ‘센터’라는 단어가 이미 보편화 되었다는 주장을 했었고, 반대하는 측은 공공기관의 명칭에 외래어가 사용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주장을 하였다. 결과는 3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전국 2천 백여 개 동사무소의 명칭을 동주민센터로 바꾸었다.

또한 경찰파출소는 ‘치안센터’로, 소방파출소도 ‘119 안전센터’로 한국철도공사는 ‘코레일’로 이외에도 많은 공공기관들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뀌었으며 아직까지 공공기관의 명칭이 외래어로 바뀐 사실을 많은 주민들이 모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행정에서 공문서나 회의 자료 작성시 한글 대신 외래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사용서로 표기하면 될 것을 ‘매뉴얼'이라 표기하며, 도정구호로 표기하면 될 것을 ’브랜드 슬로건‘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리플릿, 워크숍, 프로젝트, 비전, 인프라, 로드맵, 벤치마킹, 멘토링‘등 수많은 말들을 외래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어렵고 난해한 외래어가 무차별적으로 사용되면서 공문서를 작성하는 공무원들조차 특정 외래어가 무슨 의미인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일상생활에서의 외래어 남용은 더욱 심각한 지경이다.


또한 젖먹이부터 직장인까지 온 나라가 ‘영어 학습 열풍’에 휩싸여 있다. ‘열풍’이 아니라 ‘광풍’이라고 표현해야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영어를 잘 하기 위해 해외 어학연수를 보내고 영어발음을 좋아지게 하기 위해 혀 수술까지 하는 등 엄청난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영어몰입교육’과 영어 조기교육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국제화시대에 영어의 중요성은 결코 부인할 수 없을 것이며, 특히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는 제주에서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 영어가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행정기관에서 국제화를 지향하는 것이 마치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전부인 것처럼 주민들에게 잘못된 생각을 심어주는 것은 문제라고 생각되며,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기관에서부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지난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된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행정안전부에 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8.8%가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찬성했다고 한다. 물론 여러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할 일이지만 요즘같이 외래어가 남용되는 현실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행정기관부터 외래어 대신 한글을 사용하도록 노력하자.

제주시 재난안전관리과 강승훈
이슈제주 기자 issuejeju@issuejeju.com
Copyright @ 2010 ISSUEJEJU.co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