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달리 해안가에서 채식중인 저어새 ⓒ 지남준 객원기자 |
사전적 의미로 희귀(稀貴)는 '드물어서 매우 진귀하다'를 말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많은 것들이 어느 하나 귀하지 않은 것이 있을까 만은 특히, 자연 동.식물 중에도 조류를 보면 멸종으로 치닫는 많은 종류의 새들이 있다.
그중 저어새는 세계적으로 2,041마리만이 남아 있는 것으로 최근 조사됐다.
이는 지난 1월9일부터 11일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만, 홍콩, 일본, 중국남부에서 저어새 월동지에서 동시조사를 펼친 결과로, 여름철 번식 때에는 한 곳에 머물지 않고 흩어져 있기 때문에 그들의 숫자를 헤아리기가 어려워 겨울철 월동지에서 관련국가의 관심이 있는 단체에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 |
대만 치쿠습지에서 휴식중인 저어새 무리(지난 3월 6일) ⓒ 지남준 객원기자 |
이중 제주도는 지난해 개체수 변동은 없었으나 지난해 낙동강하구에서 3마리가 처음으로 발견된 것을 합치면 국내에서는 3마리가 감소했고, 일본은 지난해 보다 9마리, 중국 하이난은 66마리, 홍콩은 34마리가 감소했으며, 태국에서 지난해 2마리가 관찰됐으나 올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대만은 74마리, 마카오는 2마리, 베트남은 14마리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이번 조사결과 나타났다.
![]() |
먹이를 먹기위해 날아들고 있는 저어새 ⓒ 지남준 객원기자 |
개체수 감소는 10여년 만에 발생한 일이지만, 저어새의 감소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
조사단체에서는 번식지인 우리나라의 서해안 무인도서의 환경이 열악해지고 있으며, 저어새의 수용능력이 한계수준에 도달했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알려졌던 번식지가 확장되고 있다고도 하고 있어 뚜렷한 이유를 파악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 |
채식중인 저어새 ⓒ 지남준 객원기자 |
![]() |
깃을 다듬고 있는 저어새 ⓒ 지남준 객원기자 |
이 같은 상황에서 저어새의 개체수 감소는 의외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번 동시 센서스에서는 중국이나 다른 알려지지 않은 월동지로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금은 저어새들이 번식지로 이동할 시기이다.
이번 여름에는 많은 수의 저어새부부가 2세들을 훌륭히 키워내기를 기대해 본다.
![]() |
ⓒ 지남준 객원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