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견이를 품고있는 모습 ⓒ 지남준 객원기자 |
즉 조류가 다른 조류의 둥우리에 알을 맡기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탁란하는 새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두견이과의 뻐꾸기,두견이, 벙어리뻐꾸기, 매사촌 등이다.
탁란을 하는 경우에는 자기 알과 매우 비슷한 새의 둥우리를 선택하는데 예를 들면 두견이는 자기의 암적색 알을 닮은 휘파람새의 둥우리에 탁란 한다.
![]() |
태어난지 2일째인 두견이와 갓태어난 휘파람새(휘파람새는 끝내 둥지밖으로 떨어졌다. ⓒ 지남준 객원기자 |
휘파람새는 대개 4개의 알을 하루 간격으로 낳는데 이때 산란중에나 포란(抱卵) 초기에 휘파람새가 둥지를 비운사이에 두견이는 얼른 알을 1개 물어 넣고 휘파람새의 알을 1개 물어내다 버린다.
휘파람새의 새끼는 포란 시작후 약 13-14일에 태어나는데 두견이의 새끼는 이보다 앞서서 약 10-11일에 태어난다.
두견이 새끼는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눈도 안보이고 깃털도 없는 상태에서 휘파람새의 둥지내에 있는 알이나 갓부화한 작은새끼를 등으로 밀어 둥지 밖으로 몰아낸다.
알이나 새끼들의 밑으로 파고 들어가 들어 올린 후 둥지 밖으로 떨어뜨려 버린다. 양부모에게 먹이를 독점하기 위한 행동이며 경쟁의 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행동이다.
![]() |
태어난지 15일째인 두견이(주둥이가 무척 커보인다) ⓒ 지남준 객원기자 |
둥지를 이소(둥지를 떠남)하고도 염치없이 또 7일 이상을 먹이를 받아 먹다가 어미새를 내팽개치고 혼자 살아가게 된다.
그야말로 고도의 지능적 번식 능력을 갖고 있는 새이다.
이성이 없는 짐승의 행위이지만 한편 생각하면 분노가 치밀기도 하고, 탁란에 의지해 종족 번식의 본능으로만 살아가는 생태가 야비하게도 느껴지기도 한다.
![]() |
이소직전의 두견이 ⓒ 지남준 객원기자 |
자연의 섭리나 질서로만 헤아리기는 너무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생각은 인간의 생각일뿐 정작 그들은 평온하다.
사람의 잣대로 자연의 그들 세상에 탁란의 행위를 옳고 그름을 탓하여 무었하랴.
![]() |
휘파람새가 두견이에게 줄 먹이를 물고 왔다. ⓒ 지남준 객원기자 |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우리 인간의 삶에서도 두견이나 뻐꾸기와 같이 남에게 필요이상 의지하거나, 필요한것 만 요구하고 마는 이들이 있다"는 걸.
사회는 더불어 살아가는 곳이다.
모두가 살아가는 방법에 차이가 있겠지만 그래도 자연의 생태를 보면서 우리의 삶을 다시한번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
![]() |
휘파람새가 세마리의 새끼를 키우고 있다. ⓒ 지남준 객원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