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안에서 번식하는 천연기념물 '매'

  • 등록 2007.05.27 23:14:06
크게보기

지남준 통신원, 본섬서 처음...사라져가는 해안변은 생태 보고

 
최근 해안도로 개설로 인한 해안변 파괴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서귀포시 한 해안변에서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는 매의 번식이 이슈제주 통신원에 의해 촬영돼 해안변 보호를 일깨워주고 있다.

이슈제주 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조류사진가 지남준씨는 지난 6일 서귀포시 해안가 절벽에서 매의 둥지를 확인하고 새끼새 한마리와 어미새, 아비새의 촬영에 성공했다.

부속섬에서는 몇 차례 확인 및 촬영됐으나 본섬인 제주도에서 촬영하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최근 해안도로 개설로 인해 해안 절벽 위로 차량이 다니고, 많은 사람들이 해안경승지 등을 찾으면서 새들의 번식지를 잃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촬영은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지난 6일 지씨는 알을 깨고 나온지 얼마안된 솜털이 뽀송뽀송한 새끼새가 날개를 푸드덕 거리거나 아슬아슬하게 벼랑을 오가는 모습을 목격하고 연이어 셔터를 눌렀다.

그리고 10일 어미새가 아비새가 물어다준 먹잇감을 손질하고, 새끼새에게 먹여주는 모습을 촬영했다.

지씨는 순간순간을 숨죽이며 촬영했지만 직장을 다니는 관계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다음 주말을 기다려야만 했다.

 
기다리지 못하고 주말을 하루앞둔 19일에는 어느덧 하얀 솜털이 성조의 색깔을 띄기 시작했으며 부리도 제법 매서운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몸짓 또한 어느덧 커지고 날개 또한 금방 날아갈 듯하게 펼치고 있었다.

주말은 출장관계로 다니지 못했던 지씨는 지난 26일 마지막으로 이소(둥지를 떠남)하려던 매의 새끼를 관찰 촬영했다.

이날 성조가 된 매는 다소 몸집은 작았으나 어느덧 성조의 색깔과 매서운 눈매, 날개를 갖추고 날카로운 발톱 또한 갖춰 날아가버렸다.

이번에 매의 번식을 촬영한 조류사진가 지남준씨는 "점점 더 삶의 터전을 잃어가고 있는 새들은 물론 최근 종 다양성 등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전제, "우리 인간들이 자연을 위해 해야 할 일 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게 아니냐"며 인간이 자연과의 공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함을 역설했다.

 
매는 대개 해안이나 섬의 절벽 바위에 둥지를 마련하지만 도시의 고층건물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먹잇감으로는 오리·도요·물떼새·비둘기 따위를 잡아먹는다.

또한 공격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는 먹이감을 공중에서 낚아채는 날카로운 사냥술도 갖고 있다.

특히, 급강하 할때는 200km 이상의 속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매우 빠른 새이다.

국내에선 해안 절벽에서 번식하는 보기 드문 텃새로 참매·붉은배새매·새매·황조롱이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오래 전부터 꿩사냥에 이용해왔다.

 
 
 
 
 
 
 
 
김영하 기자, 지남준 객원기자 기자 yhkim9356@naver.com
Copyright @ 2010 ISSUEJEJU.co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주)이슈제주 | 인터넷신문 등록 제주 아-01005호 | 등록일 2006년 4월 4일 | 사업자등록번호 616-81-55901
창간일 2006년 4월 7일 | 발행인/편집인 고창일| 청소년보호책임자 고창일 010-6742-6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봉로 329 203동 203호 | Tel (064) 757-1442  Fax (064) 757-1443
E-mail : issuejeju@issuejeju.com ㅣ Copyright ⓒ 2010 (주)이슈제주 All rights reserved.